도서소개

유대교 출신 기독교 석학, 알프레드 에더스하임의 명저(名著)
Sketches of Jewish Social Life 국내 첫 출간!
- 김구원, 최중화, 류모세 추천

유대교 전통과 기독교 신학의 정수가 만나 그려낸
1세기 유대 사화의 거의 모든 이야기

이 책에서 나는 독자들을 우리 주님과 제자들이 살았던 시대의 팔레스타인 땅으로 인도하여, 신약성경 속의 사건들이 펼쳐진 현장과 그곳에 등장했던 사람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우리가 팔레스타인 땅의 형편을 제대로 이해하는 만큼, 다시 말해 그 당시에 일어났던 일을 가까이에서 살펴보며 그 시대의 사상 속으로 뛰어들고 또 그 땅의 관습과 사고방식, 가르침, 예배에 친숙해지는 그만큼, 신약성경의 많은 표현과 언어를 바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신약성경의 기록이 그 시대의 사회상을 정확하게 담아냈다는 점, 그러면서도 가르침과 사상의 측면에서는 당시 사람들이 생각했던 것과 많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신약성경의 이야기가 진리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
그 시대를 깊이 연구하다 보니 마음속에 떠오르는 확신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진정 그분이 살았던 그 시대의 인물이요, 신약성경의 이야기와 언어와 비유들이 들려주는 것은 그 사건들이 일어난 시대 및 환경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른 의미에서 좀 더 깊이 생각해 보면, 그리스도와 그 시대 사이에는 아무런 유사성도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때나 그 이후의 시대에도 “그 사람이 말하는 것처럼 말한 사람은”(요 7:46) 없으며, 또 그분처럼 살고 그분처럼 죽은 사람도 없다. 단언컨대 그분은 다윗의 아들이었듯이 또한 하나님의 아들이요 세상의 구주이시다.
처음부터 끝까지 굳게 잡았던 목표는 신약성경의 이야기와 가르침을 밝히 드러내는 것이었다. 이 책이 신약성경에 새로운 빛을 비추어 주고, 특히 새롭게 제시된 증거를 통해 “우리 중에 이루어진 사실”(눅 1:1)이 진리임을 활짝 열어 보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모든 것의 원천이 되시는 위대한 진리 앞에 기쁨 충만한 믿음을 고백하면서 이 탐구를 시작하자. “그리스도는 모든 믿는 자에게 의를 이루기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시니라”(롬 10:4).
- 저자 서문 중에서


특징
- 예수 시대 유대 사회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쉽고 탁월하게 풀어 놓은 성경 참고서
- 성경 본문뿐 아니라 권위 있는 성경학자들의 문헌과 유대교 전통 자료 및 탈무드 인용
- 신구약 성경의 생생한 이해를 돕는 다양한 시각 자료와 부록 수록


독자 대상
- 성경 이야기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알기 원하는 독자
- 성경공부를 인도하는 리더 및 성경을 깊이 읽기 원하는 그리스도인
- 생생한 성경 연구와 설교를 준비하는 목회자, 신학생, 선교단체 간사
- 기독교의 교과서인 성경에 관심을 가진 독자


차례

추천의 글
저자 서문

01. 1세기의 팔레스타인 속으로
02. 약속의 땅: 유대인과 이방인
03. 이방의 갈릴리: 예수와 제자들의 고향
04. 팔레스타인 여행길: 도로와 여관, 세금과 세리
05. 유대 본토: 이스라엘의 심장부
06. 도시와 마을, 가정: 유대인의 일상생활
07. 자녀 양육: 유대인으로 자라나다
08. 교육: 가정교육, 교육제도와 교사
09. 여성: 어머니, 딸, 아내
10. 죽음과 그 너머: 유대인의 생로병사
11. 노동: 직업관, 장인과 장인조합
12. 상업과 무역: 율법에 따른 정직한 거래
13. 바리새인: 백성 가운데 구별된 사람들
14. 바리새인 형제단
15. 분파: 바리새파, 사두개파, 에세네파
16. 회당: 기원과 제도, 외적 모양
17. 예배: 회당 의식, 기도와 설교
18. 고대 유대교의 신학 문헌

부록: 미쉬나 미도트


저자소개

알프레드 에더스하임
Alfred Edersheim, 1825-1889
19세기 유대교 출신의 기독교 석학. 오스트리아 빈의 부유한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나 일반 학교인 김나지움에서 수학하는 동시에 유대교 회당에 딸린 유대 학교에서 탈무드와 토라를 공부했다. 1841년 빈 대학교에 입학한 이후 스코틀랜드 장로교 목사인 존 덩컨 박사를 만나고 그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로 개종했다. 덩컨 박사와 함께 스코틀랜드로 건너가 에든버러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베를린에서는 저명한 신학자 에른스트 헹스텐베르크와 교회사의 대가인 요한 아우구스트 네안더를 사사했다. 1846년부터 장로교 목사로 사역을 했고 1875년에 성공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말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당대 비견할 만한 인물을 찾기 어려울 만큼 뛰어난 성경학자이자 교회사가였던 그는, 시적인 상상력을 가지고 막힘없이 유려한 글을 쓰는 탁월한 작가였으며, 다양한 수사법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설득력 있는 설교자이자 변증가이기도 했다. 방대한 연구 자료와 정보를 보다 풍성하고 접근성 있게 정리하고 전달하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 이 분야 최고의 대학자였다.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시대』(생명의말씀사)를 비롯해 The Temple: Its Ministry and Services, Bible History: Old Testament, Prophecy and History in Relation to the Messiah 등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