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출판사 리뷰

본서는 킹제임스성경만이 유일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주장하는 유일주의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저자는 킹제임스성경의 탄생에 관한 역사적, 신학적 고찰을 통해서 어떻게 킹제임스성경이 번역자들에 의해 탄생하게 되었는지 설명해 준다. 더불어, 유일주의가 주장하는 사항들을 킹제임스성경 서문, 난외주의 분석 그리고 실례를 들어서 그 허구성을 논증한다. 본서는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가 가지는 문제점을 본문의 탄생에 대한 역사적, 사본학적 분석을 통해 실랄하게 파헤치고 있다.


차례

추 천 사 조영엽 박사/총회신학(성경보수) 교의신학 교수 / 4
저자 서문 / 6

제1장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의 문제점들 / 11
1. 우리는 진실 위에서 시작해야 한다 / 13
2. 이단적 성경관 - 성경의 원본이 영어로 존재한다 / 21
3. 배타적 교회관 - 우리는 침례 요한의 후예들이다 / 33

제2장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의 역사 / 39
1. 안식교교리 보존을 위해 시작된 유일주의 / 40
2. 근본주의 내에서의 유일주의 / 53

제3장 제임스 왕의 통치와 잉글랜드 국교회 / 61
1. 영국의 정치 상황과 제임스 왕의 통치 / 62
2. 1604년의 교회법 / 73
3. 찰스 1세의 시대(재위 1625 - 1649) / 79
4. 특별 고등법원 / 81

제4장 킹제임스성경에 영향을 준 성경들 / 85
1. 가톨릭의 권위 아래 놓였던 성경 / 86
2. 킹제임스성경 관련 성경들 / 89

제5장 킹제임스성경 번역자들의 이력 / 103
1. 각색된 54명의 영감 받은 번역자들 / 104
2. 번역자들의 신학적 입장 / 108
3. 번역자들의 이력 / 110

제6장 킹제임스성경의 번역 / 135
1. 번역의 필요성 / 136
2. 번역의 15가지 원칙 / 143
3. 1602년 판 비숍성경으로 수정된 증거들 / 151

제7장 초판에 드러나는 번역자들의 신학사상 / 167
1. 마리아 숭배 사상 / 169
2. 가톨릭의 전례력과 축일들 / 177
3. 외경은 참고자료가 아니다 / 183
4. 정경과 외경이 상호 참조되어 있다 / 193

제8장 서문과 난외주의 중요성 / 197
1. 서문의 중요성 / 198
2. 난외주의 중요성 / 206
3. 다른 사본에는, 다른 고대 사본에는 / 225

제9장 같은 신앙 다른 평가 / 231
1. 가톨릭 신학의 아버지 - 어거스틴 / 233
2. TR의 창시자 - 에라스무스 / 237
3. 교황에게 헌정된 에라스무스의 성경 / 241
4. 에라스무스가 필요 없는 세상 / 253
5. 마귀적인 변개자 - 웨스트코트와 호르트 / 257

제10장 TR의 근본적인 의문들 / 261
1. 공인본문(Textus Receptus)의 기원 / 262
2. 다수 본문(MT)과 공인본문(TR)은 다르다 / 269
3. MT와 TR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 / 276

제11장 없음이 없는 성경과 바른 성경관 / 341
1. 불가타전수성경 / 342
2. 없음이 없는 성경의 위대함 / 344
3. 균형 잡힌 성경관과 신앙 / 346

부록 1 킹제임스성경의 그리스어 원문 비교 / 354
부록 2 킹제임스성경의 서문: 번역자들이 독자들에게 / 375


저자소개

권동우
저자는 한국에서 20년 만에 알게 된 1611년 판 킹제임스성경 내에 존재하는 번역자들이 독자들에게 써놓은 서문을 접한 후, 너무나도 중요한 그 서문이 오랫동안 한국 성도에게 알려지지 않았던 이유를 찾아내기 위해 킹제임스성경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한국에 킹제임스성경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자료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밝히고자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저자는 한국에서 킹제임스성경 유일주의에 빠지게 되는 성도 대부분은 순수하고 조금이라도 완전한 하나님의 뜻을 알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지만 유일론자들은 검증되지 않은 역사와 거짓된 논리로 많은 성도를 미혹시키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책은 킹제임스성경이 만들어진 역사적, 정치적 배경과 킹제임스성경에 대한 분석과 사본학적 접근으로 성경관의 혼란으로 힘들어 하는 이들에게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