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는 한국 교회와 선교단체들의 북한인권운동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그러한 분류의 기준이 되는 선교패러다임과 대북관의 변화가 북한인권운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설명한다. 저자는 보수적 교회와 진보적 교회가 북한인권운동에서 수렴되어 가는 최근의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과거와 다르게 보수적 선교관을 추구하는 교회가 북한 정부와 협력하면서 진보적 대북관인 통일신학적 대북관을 수용하거나, 진보적 선교관을 추구하는 교회가 북한의 독재체제와 인권탄압을 비판하며 자유권 중심의 북한인권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을 밝히기 위해서 저자는 관련된 역사적 흐름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교회의 선교적 열정이 북한인권운동에 반영된 과정을 명쾌하게 풀어낸다.


차례

추천사 1(이만열 박사/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5
추천사 2(김회권 박사/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8
저자 서문 10
서장 14
1장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 분석의 이론적 배경 29
2장 한국교회 인권운동 참여 85
3장 한국교회 북한인권운동 전개 134
4장 선교패러다임과 대북관에 따른 북한인권운동 분석 211
5장 결론 254
참고문헌 259
부록 282


저자소개

윤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경영학 (B.A., 1989)
Fuller Theological Seminary (M.A., 200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북한학 (Ph. D., 2014)

복음의 능력이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는 과정에 관심이 많은 저자는 일생의 화두를 ‘하나님 나라’에 두고 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대답’을 고민하며 출범한 성서한국 사무국장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회에 걸쳐 전국대회를 섬겼다. 이후 현대 한국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남북분단문제 해결이라 여겨 평화와 통일을 위한 운동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6개 단체가 연합해서 8년째 이어온 통일비전캠프와 통일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계간지인 「통일코리아」 제작에 참여하면서, 진보와 보수 개신교 통일운동 인사들이 협력하는 ‘평화와통일을위한기독인연대’(평통기연)에도 함께하고 있다. 2015년 창립한 (사)뉴코리아 대표로서 미국과 일본, 중국과 러시아 디아스포라 한인네트워크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