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준(準) 성서적 묵시문학에 대한 신선하고 포괄적인 연구성과를 보라

본서의 목표는 독자들에게 구약(첫째 약속)과 신약(둘째 약속) 모두를 포함한 성서의 묵시문학을 소개하는 것이다. 그러나 묵시사상(apocalypticism)에 대한 해석방식이 워낙 다양하며, 성서 본문들 가운데 ‘묵시적’이라 불릴 만한 것을 추려내는 데에도 동의가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저자는 이 책에서 의도적으로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성서의 묵시 본문들의 ‘가계’를 전체적으로 소개한다.

묵시문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성서의 다른 작품들에 대한 메아리와 암시들을 자주 주의 깊게 듣도록 요구하기 때문에 성서 전체에 걸친 묵시 본문들의 상호관련성을 추적할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묵시문학은 복잡하고 다양하기에, 거의 모든 표준적인 비평방법론들이 한 가지 목적에서 또는 다른 목적에서 유용한 것으로 입증된다. 저자는 본서에서 일반적인 해석 입장들에 비하여 해석을 위한 과학적 도구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덜 말하는 편을 선택한다.저자는 폭넓은 해석학적 통찰과 판정기준들에 친숙해지는 것이야말로, 독자들이 묵시 본문들로 하여금 가능한 한 명백하고 진정성 있으며 신학적으로 타당한 방법으로 말할 수 있게끔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주장한다. 또 묵시 본문들이 오로지 훈련된 자기반성의 신학적 해석을 통하여 이해가능성을 산출해낸다는 점에서 성서의 여러 작품들과 달리 독특한 면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제1부(1-4)는 성서의 묵시사상을 소개하고 묵시문학을 읽을 때 피해야 할 일반적인 함정과 극단적 행위들의 윤곽을 잡는다. 제2부(5-9장)는 성서의 특별한 묵시 본문들을 대략적인 연대 순서에 따라 여행한다. 이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각 본문의 주장을 듣고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특히 제2부는 연구 대상이 되는 성서의 해당 부분들을 주의 깊게 독해하는 작업과 관련하여 굉장히 유용할 것이다.


차례

제1부 묵시 본문 해석의 문제들

제1장 묵시 세계와의 만남
묵시사상이란 무엇인가?
묵시적 상상력의 뿌리
제2장 묵시 본문 길들이기의 위험성
영적 그리고 상징주의적 읽기를 통한 묵시 본문 길들이기
미래주의적 읽기 혹은 역사주의적 읽기를 통한 묵시 본문 길들이기
지나친 맹신적 읽기 혹은 지나친 회의적 읽기를 통한 묵시 본문 길들이기
제3장 묵시 본문의 문자적 의미를 찾으려는 새로운 연구
정경적 연구방법을 공식화하기
묵시 본문의 신학적 기여
묵시 본문과 해방
제4장 묵시문학의 배경에 놓인 사회 세계
묵시 그룹들의 출현
다양한 성서 본문들, 다양한 묵시 그룹들

제2부 성서의 묵시 본문 읽기

제5장 예언서의 초기 묵시 본문들
에스겔서의 특정 본문들
스가랴서
요엘서
이사야서의 특정 본문들
말라기서
제6장 다니엘서
다니엘서를 읽기 위한 쟁점들
다니엘서에서 암시된 성서구절들을 추적하기
내용과 신학적 주요 사건
다니엘서를 정경으로 읽기
다니엘 그룹의 기원과 사회적 배경
제7장 묵시사상과 예수 그룹
묵시 전령사로서의 예수
예수의 파국적 메시아직
예수의 초월적 정체성
제8장 묵시 세계와 초대교회들
바울의 편지들
복음서의 묵시적 담론
제9장 계시록
계시록을 읽기 위한 쟁점들
계시록에서 암시된 성서구절들을 추적하기
내용과 신학적 주요 사건
계시록을 정경으로 읽기
계시록 그룹의 기원과 사회적 배경


저자소개

스티븐 L. 쿡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 B. A.)를 졸업하고, 예일 신학대학원(Yale Divinity School, M. Div.)에서 수학하고,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 Ph. D.)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2년부터 뉴욕의 유니언 신학대학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구약학 교수로 있다가, 1996년에 미국성공회(Episcopal Church) 소속의 버지니아 신학대학원(Virginia Theological Seminary)으로 옮겨 지금까지 재직중이다.

주요저서
Prophecy and Apocalypticism(Fortress, 1995), The Apocalyptic Literature (Abingdon, 2003), The Social Roots of Biblical Yahwism(SBL, 2004), Reading Deuteronomy: A Literary and Theological Commentary (Smythe & Helwys,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