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앞으로 한국 교회가 어떻게 성숙한 신학과 분명한 윤리 의식을 갖춘 미래 세대를 키울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실시함에 있다. 그동안 한국 교회들은 주로 교회 성장과 선교에 많은 힘을 쏟았으나 기독교 교육과 가정사역에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만약 이제라도 교회들이 주일학교 교육과 가정사역을 잘 실시하여 교회에 속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신학에 기초한 올바른 신앙을 주입하고, 동시에 가정을 잘 세워서 건강한 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인성 교육을 잘 시키게 한다면 미래의 한국 교회는 소망이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올바른 기독교 교육과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인적 기독교 교육』은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방향성을 한국 교회에 제시할 것이다.


차례

추천사 1 (엄예선 박사: 풀러신학교 가정상담, 한국가족학 교수) 5
추천사 2 (박장순 박사: 파사데나 새소망장로교회 담임 목사) 8
저자 서문 10

제1부 기독교 가정 교육의 역사적 고찰
제1장 구약 시대의 기독교 교육 18
1. 족장 시대(부족 시대)의 교육 18
2. 초기 이스라엘의 교육 23
3. 후기 이스라엘의 교육 35
제2장 신약 시대의 기독교 교육 43
1. 예수님의 교육 43
2. 사도들의 교육(초대 교회의 기독교 교육 역사) 49
제3장 교부(속사도와 교부) 시대의 기독교 교육 57
1. 교부(속사도와 교부) 57
2. 시대적 배경 58
3. 교육 59
4. 교부들이 말하는 기독교 가정 교육의 중요성 62
제4장 중세 시대의 기독교 교육 64
1. 중세 초기의 시대적 배경 64
2. 중세 시대의 기독교 교육의 목적과 내용 65
3. 중세 시대의 가정 교육 66
제5장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교 교육 68
1. 종교개혁 시대의 특징 68
2. 종교개혁 시대의 교육사상의 의미 69
3. 종교개혁 시대의 가정 교육 69
4. 종교개혁 시대의 기독교 교육자 71
제6장 근대와 현대의 기독교 교육 79
1. 코메니우스의 가정 교육관 80
2. 호레이스 부쉬넬의 가정 교육관 82
3. 현대 가정의 기독교 교육 89

제2부 전인적 기독교 교육
제1장 일반적인 전인 교육에 대한 견해 96
1. 전인 교육의 정의 97
2. 전인 교육의 역사적 변천 100
3. 전인 교육의 원리 106
제2장 성경적인 기초 109
1. 예수 그리스도가 실시한 전인 교육 109
2. 디모데후서 3:14~17에 나타난 전인 교육 111
제3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 112
1.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이해 112
2.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목적 114
3.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정의 115
4.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범위 116
5. 전인적 기독교 교육의 장 118

제3부 가정을 통한 전인적 기독교 교육
제1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목표 124
1. 부모의 우선순위 124
2. 부모의 목표 126
제2장 전인적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가정의 역할 128
1. 기독교 가정 교육의 중요성 129
2. 기독교 가정 교육의 목표 130
제3장 가정을 통한 전인적 기독교 교육 실시를 위한 프로그램들 133
1. 교회가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134
2. 부모가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150

제4부 기독교 교육의 문제와 해결방안
제1장 기독교 교육의 문제분석 164
1. 뚜렷한 교육철학과 방향 부재의 문제 165
2. 교육 과정의 문제 168
3. 교회 활동의 문제 170
4. 타임케어식(교회에서 몇 시간만 돌봐 주는 형식) 교육의 문제 174
5. 기독교 교육이 교회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제 178
6. 하나님 말씀과 삶의 연결 부재 현상의 문제 182
7. 무분별한 프로그램 수용의 문제 186
8.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비전 제시에 대한 문제 189
9.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의 창조와 개발의 문제 194
10. 형식적인 것과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의 문제 197
11.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를 위한 신앙 교육의 문제 202
12. 주일학교 어린이와 청소년들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 210
13. 가치관 상실의 문제 214
14. 주일학교에서 하나님 말씀에 대한 교육의 문제 218
15. 요약: 기독교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 233

맺는말 236

참고문헌 242


저자소개

이동규
저자는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인하여 신학을 시작하여 부 교역자로 학업(칼빈신학교, 총신신학대학원)과 기독교 교육에 힘썼다. 1995년에 미국의 LIBERTY UNIVERSITY에서 기독교 교육학 석사(Th.M.)를, AZUSA PACIFIC UNIVERSITY에서 기독교 교육학 석사(M.A.C.E.)를 전공하고 FULL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A Strategy for Whole Person Christian Education through the Family”라는 제목으로 목회학 박사(D.Min.) 학위를 받았다.

저자는 이민 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을 하다 앵커한인교회를 개척했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사역을 하며 후학 들을 양성하기 위하여 여러 신학교에서 기독교 교육학과 교회사, 은사찾기, 영접목회, 교육목회 등을 강의했고, 이 민 교회의 교사들을 위하여 여러 교회에서 교사 교육을 진행하였다.
현재는 담임 목회와 아울러 이민 사회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기 위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CHONGSHIN UNIVERSITY THEOLOGICAL SEMINARY”를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이민 사회의 목회자들과 선교사 지망생들과 전도자들의 훈련을 위하여 “ALL THE NATION INTERNATIONAL EVANGELICAL MINISTRY ASSOCIATION”을 설립하여 사역하고 있다. 아내 혜림과 아들 승학이 함께 사역을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