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피츠마이어의 명쾌한 로마서 주석!!

본서는 로마서의 주해를 통해 유대인과 헬라인 모두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은혜로 칭의와 구원을 받는다는 바울의 사상을 잘 설명한다. 저자인 조셉 A. 피츠마이어는 이러한 바울의 복음이 하나님의 의와 사랑을 계시하고 있음을 명쾌하게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서는 로마서를 제대로 공부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아주 유용한 주석서이다. 로마서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려 하지 않고 이 분야 전문가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이면서 역사적, 문법적, 신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제대로 이해하고자 하는 많은 이들에게 아주 적합한 안내서이다.


차례

추천사 1(최재덕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 5
추천사 2(이승호 박사: 영남신학대학교 신약학 교수) /6
서문/ 9
역자 서문 / 14
약어표 / 25

1장. 로마와 로마의 그리스도인들 / 43
2장. 저자 / 67
3장. 본문 / 73
4장. 통일성과 완전성 / 87
5장. 상황과 목적 / 107
6장. 저작 연대와 장소 / 133
7장. 언어와 문체 / 139
8장. 구조와 개요 / 149
9장. 로마서에 들어 있는 바울의 가르침 / 161
1. 신론: 하나님에 대한 가르침 / 162
2. 기독론: 그리스도 예수와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서 예수님의 역할에 대한 가르침 / 174
3. 성령론: 성령에 대한 가르침 / 198
4. 인간론: 복음의 영향 안팎에 있는 사람에 대한 가르침 / 202
5. 그리스도인의 행위: 성령의 인도함을 받는 삶으로 부르심에 대한 가르침 / 228
10장. 일반적인 참고문헌 / 261
서문(1:1-15)
1장. 수신자와 인사(1:1-7) / 315
2장. 감사(1:8-9) / 341
3장. 전문: 로마에 가려는 바울의 바람(1:10-15) / 349
I. 교리 단원: 하나님의 복음-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1:16-11:36)

|제1부| 믿음의 백성을 의롭게 하는 하나님의 의가 복음을 통하여 계시되었다(1:16-4:25)
4장. 주제 선언: 하나님의 의를 밝혀 주는 복음은 모두를 위한 강력한 구원의 원천이다(1:16-17) / 363
◆ 부정적으로 설명된 주제: 복음이 없는 상태에서 하나님의 진노가 모든 사람들에게 나타났다(1:18-3:20)
5장. 이방인들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진노(1:18-32) / 391
◆ 유대인들에게-사실은 모든 사람들에게-나타난 하나님의 심판(2:1-3:20)
6장. 하나님의 종말 심판 때의 식별(2:1-11) / 439
7장. 율법과 준수(2:12-16) / 457
8장. 유대인들의 율법 위반(2:17-24) / 473
9장. 할례로 참된 유대인이 되는 것이 아니다(2:25-29) / 483
10장. 유대인 주장에 대한 반대(3:1-9) / 493
11장. 모든 사람들-유대인들도 헬라인들도-은 죄인이다(3:10-20) / 507
◆ 긍정적으로 설명된 주제: 하나님의 의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모든 죄인들에게 나타나고 믿음으로 파
된다(3:21-31)
12장. 모든 사람들이 아무런 차별 없이 그리스도 예수의 칭의, 구속, 속죄를 공유한다(3:21-26) / 523
13장. 이 주제의 논쟁적인 전개(3:27-31) / 551
◆ 율법에 예시된 주제: 아브라함은 행위가 아니라 믿음으로 의롭게 되었다(4:1-25)
14장. 믿음으로 의롭게 된 아브라함(4:1-8) / 571
15장. 할례 받기 전에 의롭게 된 아브라함(4:9-12) / 587
16장. 아브라함의 경우처럼, 약속은 오직 믿음의 백성에게만 실현된다(4:13-25) / 595

|제2부| 하나님의 사랑이 믿음으로 의롭게 된 사람들에게 구원을 보장해 준다(5:1-8:39)
17장. 주제 선언: 의롭게 된 그리스도인들은 사랑의 하나님과 화해되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부활 생명을
공유하리라는 소망을 통하여 구원받을 것이다(5:1-11) / 613
◆ 주제 설명: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은 삼중의 해방을 가져오고 성 령에 의해 가능해진다(5:12-8:13)
18장. 죽음과 죄의 세력으로부터의 자유(5:12-21) / 635
◆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하여 얻은 자아로부터의 자유(6:1-23)
19장. 세례를 통하여 얻은 죄와 자아로부터의 자유(6:1-11) / 675
20장. 헌신을 위한 자유(6:12-23) / 699
◆ 율법으로부터의 자유(7:1-25)
21장.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얻은 율법으로부터의 자유(7:1-6) / 719
22장. 사람들의 삶에서 율법이 담당하는 역할(7:7-13) / 733
23장. 율법에 의해 종이 된 사람들의 불평과 외침(7:14-25) / 749
24장. 하나님의 영에 의해 가능하게 된 그리스도인의 삶(8:1-13) / 763
◆ 주제 전개: 내주하는 성령에 의해 제공된 자유 가운데 사는 그리스 도인의 삶은 반드시 영광을 얻게
되어 있다(8:14-39)
25장. 그리스도인은 성령을 통하여 영광을 받게 될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8:14-17) / 795
26장. 세 가지가 이 새로운 운명에 대해 증언한다: 산고로 신음 하는 피조 세계(8:18-23) / 809
27장. 그리스도인이 소망한다는 사실(8:24-25) / 825
28장. 성령(8:26-27) / 829
29장. 영광으로 부름 받고 영광으로 예정되어 있는 그리스도인 (8:28-30) / 837
30장. 그리스도 예수를 통하여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찬가(8:31-39) / 849

|제3부| 믿음을 통하여 얻는 이 칭의와 구원은 하나님이 옛 이스 라엘에게 주신 약속들과 모순되지 않
다(9:1-11:36)
31장. 그의 이전 동료 종교인들에 대한 바울의 탄식(9:1-5) / 869
◆ 이스라엘의 실패: 이것은 하나님의 역사 방향과 상반되지 않는다 (9:6-29)
32장.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주신 약속들은 하나님이 이스라엘 을 무상으로 당신의 백성으로 선택하신
것에서 기인한다. 그러므로 그의 말씀은 실패하지 않았다(9:6-13) / 899
33장. 하나님의 주권적인 자유는 불순종까지도 당신의 목적에 사용하신다(9:14-23) / 911
34장. 하나님은 임의로 행하시지 않는다. 이스라엘의 부름, 불 신실, 남은 자들은 하나님이 구약 성경에서
선언하신 것 에 예견되어 있다(9:24-29) / 925
◆ 이스라엘의 실패: 이것은 이스라엘 자신의 거부에서 기인한다 (9:30-10:21)
35장. 이스라엘은 의를 추구하다가 넘어졌다(9:30-33) / 935
36장. 의는 율법의 마침인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서 나온다 (10:1-4) / 945
37장. 성경이 보여 주듯이,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새로운 의의 길은 쉽고 가깝다(10:5-13) / 955
38장. 이스라엘은 이 선포된 말씀에 응답하지 않았다(10:14-21) / 969
◆ 이스라엘의 실패: 이것은 부분적이고 일시적이다(11:1-36)
39장. 이스라엘의 완고는 부분적이다(11:1-10) / 983
40장. 이스라엘의 불신앙은 일시적이고 섭리적인 것이다(11:11-24) / 995
41장. 이스라엘의 신비: 이스라엘은 모두 구원 받을 것이다(11:25-32) / 1013
42장. 하나님의 지혜와 자비를 찬양하는 찬가(11:33-36) / 1037

II. 권면 단원: 그리스도 안에서 의로운 삶을 살라는 요구(12:1-15:13)
|제1부| 성령의 인도를 받는 그리스도인의 삶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이어야 한다(12:1-13:14)
43장. 세상에서 사는 삶-하나님께 드리는 예배(12:1-2) / 1047
44장. 모두를 위해 하나님의 은사들을 사용하는 분별 있는 생활(12:3-8) / 1059
45장. 공동체에서 사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조언(12:9-21) / 1071
46장. 그리스도인들과 사회 당국자들의 관계(13:1-7) / 1089
47장. 율법을 성취하는 사랑의 빚(13:8-10) / 1111
48장. 종말론적 권면: 그리스도인의 생활-깨어있는 행실(13:11-14) / 1119
|제2부| 공동체에서 강한 자들이 약한 자들에게 빚지고 있는 사랑의 의무(14:1-15:13)
49장. 그리스도인의 연대: 범위와 한계(14:1-12) / 1129
50장. 공동체에서 그리스도의 통치를 보여 주는 표식(14:13-23) / 1143
51장. 그리스도가 모든 행위에서 우리의 모델이다(15:1-6) / 1155
52장.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모든 사람들-유대인과 이방인-을 환영하라(15:7-13) / 1161

III. 바울의 계획, 다음 임무, 기도 요청(15:14-33)
53장. 스페인으로 가는 도중에 로마 그리스도인들을 방문하고자 하는 그의 바람(15:14-24) / 1171
54장. 방문 이전에 해야 하는 그의 다음 임무: 예루살렘의 가난한 자들에게 연보를 전달하는 것(15:25-29) / 1191
55장. 예루살렘 임무의 성공을 위하여 기도해 달라는 바울의 요청과 그의 결어적 축복(15:30-33) / 1199

IV. 결론: 뵈뵈를 위한 추천서와 로마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인사(16:1-23)
56장. 바울이 겐그레아의 일꾼인 뵈뵈를 추천하다(16:1-2) / 1207
57장. 다양한 사람들을 향한 바울의 인사(16:3-16) / 1217
58장. 거짓 교사들에 대한 바울의 충고와 그의 결어적 축복 (16:17-20) / 1237
59장. 바울의 동료들과 서기 더디오의 인사(16:21-23) / 1243

V. 영광송(16:25-27)
60장.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지혜의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다 (16:25-27) / 1253
주제 색인 / 1259


저자소개

조셉 A. 피츠마이어
-미국 Loyola University (B.A., M.A.)
-벨기에 Catholic University of Leuven (S.T.L.)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Ph.D.)
-미국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명예교수
저서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I-IX, Anchor Bible 28 (Doubleday, 1982)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X-XXIV, Anchor Bible 28A (Doubleday, 1985)
-The One Who Is to Come (Eerdmans Pub Co, 2007)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