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는 마태복음 원문에 근거한 강해서로서 성경의 원문과 과거의 신학들 사이의 괴리를 '특주'라는 항목으로 따로따로 살피고 재해석함으로 현재에 오염된 신학의 폐단을 극복하고 하나님 말씀의 원래 의미를 제시한다. 마태는 평생 동안 모아 온 예수님의 행적과 말씀들의 단편적인 기록들을 근거로 복음서 기록을 남겨야 할 필요를 느끼고 주님 앞에 진실한 마음으로 복음서를 기록했다. 우리는 마태가 기록한 마태복음서를 통하여 귀하고 값진 생명의 보화들을 알게 된다.


차례

머리말

Ⅱ권

2. 수난의 예고(마 16-17장)
1) 유대교의 누룩들에 대한 경계(마 16:1-12)
특주 12 유대교 세 종파(사두개인, 바리새인, 에세네파)
2)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교회 선언(마 16:13-20)
3) 예수님의 수난 예고와 제자의 길(마 16:21-28)
4) 변화산상의 변모(마 17:1-13)
5) 간질병 들린 소년(마 17:14-20)
6) 납세의 교훈(마 17:24-27)
특주 13 기독교인의 세금
3. 겸손의 교훈(마 18장)
1) 어린아이의 교훈(마 18:1-14)
특주 14 천국의 어린아이
2) 형제에 대한 권면(마 18:15-20)
3) 용서할 줄 모르는 종(마 18:21-35)

제5부 베뢰아 전도(마 19-20장)

1. 결혼과 이혼(마 19:1-12)
특주 15 이혼 문제
2. 재물이 많은 청년(마 19:16-30)
특주 16 성경의 재정 개념
3. 포도원 품꾼의 비유(마 20:1-16)
특주 17 세상의 경제 이론과 성경의 진리
4. 섬기는 종의 교훈(마 20:20-28)
5. 두 맹인을 고치심(마 20:29-34)

제6부 예루살렘 전도(마 21-25장)

특주 18 예수님께서 금요일에 돌아가셨는가?
1. 예루살렘 입성(마 21:1-22)
1) 나귀 타신 입성(마 21:1-11)
2) 성전을 깨끗하게 하심(마 21:12-17)
특주 19 성전이 어느 곳인가?
3) 무화과나무의 저주(마 21:18-22)
2. 유대 교권주의자들과의 충돌(마 21:23-22:46)
1) 두 아들의 비유(마 21:23-32)
2) 악한 농부의 비유(마 21:33-46)
3) 혼인 잔치의 비유(마 22:1-14)
4) 납세 논쟁(마 22:15-22)
특주 20 정치와 종교의 대립 역사
5) 부활 논쟁(마 22:23-33)
6) 가장 큰 계명(마 22:34-40)
7) 다윗의 자손과 그리스도(마 22:41-46)
특주 21 성경의 메시아 사상의 발전
특주 22 역사 속에 만들어진 각종 신학
3.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꾸짖으심(마 23:1-24:2)
1)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향한 비판(마 23:1-12)
2) 일곱 가지의 화(마 23:13-36)
3) 예루살렘의 미래 예언(마 23:37-24:2)
특주 23 예루살렘의 역사
4. 종말의 예언(마 24장)
1) 세상 끝의 징조(마 24:1-14)
특주 24 성경에 예언된 미래의 세계
2) 대환란(마 24:15-28)
3) 그리스도의 재림(마 24:29-31)
4) 종말을 대하는 태도(마 24:32-51)
5. 종말의 비유(마 25장)
1) 열 처녀의 비유(마 25:1-13)
2) 달란트의 비유(마 25:14-30)
3) 양과 염소의 비유(마 25:31-46)

제7부 수난과 부활(마 26-28장)

1. 수난의 준비(마 26:1-46)
1) 유대 지도자의 모의(마 26:1-5)
2) 예수님 머리에 향유를 붓다(마 26:6-13)
3) 가룟 유다의 배신(마 26:14-16)
4) 최후의 만찬(마 26:17-30)
특주 25 주의 만찬의 변천사
5) 베드로의 부인 예고(마 26:31-35)
6) 겟세마네 동산의 기도(마 26:36-46)
2. 수난(마 26:47-27장)
1) 예수님의 체포(마 26:47-56)
2) 산헤드린 공회의 심문(마 26:57-68)
3) 베드로의 예수 부인(마 26:69-75)
4) 가룟 유다의 자살(마 27:3-10)
5) 빌라도의 재판(마 27:1-2, 11-26)
6) 십자가에서 운명(마 27:27-56)
7) 예수의 장례(마 27:57-66)
특주 26 장례 문화
3. 부활(마 28장)
1) 빈 무덤(마 28:1-10)
특주 27 달과 요일의 유래
2) 허위 사실 유포(마 28:11-15)
3) 최후의 지상 명령(마 28:16-20)


저자소개

정수영

1940 충남 금산 출생
1960~65 한신대학 졸업(Th. B)
1973~75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M.A)
1978~82 미국 Liberty university 졸업(M.R.A & Th. M)
1987~89 International College 졸업(D. Min)
1992~95 Faith Theological Seminary 졸업(Th. D)

경력

1965~68 충남 장항교회 목사
1968~78 공군 군목, 소령 예편
1982~84 반포 침례교회 목사
1982~84 대전 침례신학대학(목동) 강사
1984~99 벧엘침례교회 목사
1984~99 수도침신(서울, 수원), 성서대학(상계동), 성서침신(이천),
성결교 신학대학원(안양), 그리스도대학(목동), 한양대학교(행당동),
중앙대학교(안성), 명지대학교 강사
1999~2002 대전 침례신학대학(유성) 겸임 교수
2002~08 미국 New Comminity church, Grace& Truth Baptist church 목사
2009~현재 수원 샘물교회 협동 목사

저서

1985 《재 침례교도의 역사》, Estep 저/ 정수영 역, 요단출판사
1991 《새 교회사 Ⅰ》, 《현대 신학》, 《벧전 후 강해》,
《히브리서 강해, 현모양처》, 규장출판사
1993 《새 교회사 Ⅱ》, 《기독교 교리》, 규장출판사
1995 《마태복음 강해》, 임마누엘 선교미디어
2000 《신학의 역사》, 명현출판사
2001 《부흥의 역사》, 명현출판사
2002 《에베소서 강해 상·하》, 《빌립보서 강해》, 명현출판사
2008 《정상에 오른 신앙》, 도서출판 애드파워
2012 《초대 교회사》, 《종교 개혁사》, 쿰란출판사
2014 《교부시대사》, 《창조신앙》,《창세기의 인물들》쿰란출판사
2015 《신약교회 사관에 의한 마태복음서 강해 Ⅰ》
《신약교회 사관에 의한 마태복음서 강해 Ⅱ》쿰란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