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구약학입문시리즈의 성격은 분명 교육적이다. 저자들은 성서 본문의 쟁점과 그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제공하지만, 다른 학자들과 논쟁을 하기보다는 독자들을 안내하는 일에 더 관심을 쏟는다. 이 시리즈는 또 하나의 주석 자료로서, 성서 본문의 해석이라는 흥미롭지만 때로는 위험천만한 일을 하는 학도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역사서 즉 여호수아서로부터 느헤미야서에 이르는 성서 책들을 소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따라서 그 우선적인 대상은 성서본문 연구를 이제 막 시작하려는 이들이다. 그러나 아울러 이 책은 역사서 해석을 위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노련한 해석자를 위한 안내서가 될 수 있다.
이 책을 포함한 구약학입문시리즈의 주요 초점은 본문 이면의 세계가 아니라 성서 독자가 읽고 있는 지금 여기에서 창출된 세계이다. 그러나 본문 이면의 역사적 세계나 본문의 형성 과정에 대해 묻는 것은 또한 성서의 의미 창출을 궁극적 목표로 하기에 결코 배제되지 않는다. 이 책은 역사서를 구성하는 각 책이 어떤 쟁점을 담고 있으며 어떤 구성을 갖추고 있는지 또 이를 통해 각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말하는지 관심을 기울인다. 결론적으로 말해 역사서는 야훼가 누구이며 야훼가 무엇을 하는지 그리고 야훼가 무엇을 대변하는지에 대해 주장하며, 이 주장은 또한 역사서를 읽는 독자의 정체성과 신앙, 신념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제1부(1


차례

발간사
서언
역사서 개요

제1부 역사서 해석의 쟁점들

1장 우리는 무엇을 읽고 있는가?
역사서란 무엇인가?/역사란 무엇인가?/역사편찬이란 무엇인가?
독자와 역사편찬/역사서 해석하기

2장 역사적 배경
이스라엘의 등장(여호수아, 사사기)/국가 건설(사무엘상하)
왕정(열왕기상하, 역대상하)/회복(에스라, 느헤미야)

3장 독서의 형태들
해석의 기술/이야기로 읽기(문학비평)/양식으로 읽기(양식비평)
전승으로 읽기(전승비평)/편집적 관점으로 읽기(편집비평)
역사적 발전과정으로 읽기(역사비평)/정경으로 읽기(정경비평)

제2부 이스라엘의 역사적 이야기 꼼꼼히 읽기

4장 신명기 역사서와 역대기적 저작물
신명기 역사서/DH의 통합 기술/DH의 신학적 주제
DH의 구성/역대기적 저작물

5장 여호수아
형태와 구조/여호수아 해석의 쟁점/여호수아의 구성
상황과 청중/주제

6장 사사기
형태와 구조/사사기 해석의 쟁점/사사기의 구성
상황과 청중/주제

7장 사무엘상하
형태와 구조/사무엘상하 해석의 쟁점
사무엘상하의 구성/상황과 청중/주제

8장 열왕기상하
형태와 구조/열왕기상하 해석의 쟁점
열왕기상하의 구성/상황과 청중/주제

9장 역대상하
형태와 구조/역대상하 해석의 쟁점
역대상하의 구성/상황과 청중/주제

10장 에스라, 느헤미야
형태와 구조/에스라-느헤미야 해석의 쟁점
에스라-느헤미야의 구성/상황과 청중/주제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처드D.넬슨
Richard D. Nelson
미국 루터교 목사인 리처드 D. 넬슨은 게티스버그 루터신학교 성서신학 교수로 봉직하였고, 현재는 미국남감리교 대학, 퍼킨스 신학대학 성서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넬슨 교수는 열왕기, 신명기, 여호수아 주석서를 저술한 신명기 역사서 연구의 대가이다.

주요 저서
First and Second Kings(Interpretation, 1987), Joshua(Old Testament Library, 1997), Deuteronomy(Old Testament Library, 2002), The Double Redaction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y(Continuum, 1982), Raising Up a Faithful Priest: Community and Priesthood in Biblical Theology(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3), From Eden to Babel(Chalice Press,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