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죄와 죄책감에 시달리는 사람들 사이에 계시는 ‘냄새나는 예수님’
‘방석집 아들’에서 ‘세상의 끝’ 남아공 선교사로 부름받은 간증과 고백



1. ‘술집 아이’의 수치심을 벗겨 주고 사역자로 부르신 하나님
어린 시절 어머니가 운영하는 술 가게가 너무나 싫었던 저자는 수치심과 열등감에 시달리며 내성적인 아이로 자란다. 친구를 집에 데려오기 싫어 고등학교 시절 친구가 없을 정도로 마음이 어둡던 저자는 대학 시절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서 밝고 건강한 사람으로 변한다. 목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신학대학원에 들어간 그는, ‘목사는 성경을 평생 연구하고 끊임없이 공부하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공부에 열중한다. 신학대학원에서 히브리어와 헬라어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신대원생들을 가르치는 강사 일을 하다가 성경을 더 연구하기 위해 유학을 결심한다. 박사 학위 과정 입학 허가를 받고 모든 준비를 마치고 떠나기 전, 기도하다 잠깐 낮잠을 자는데 길을 막으시는 성령님을 만난다. 전혀 예상치 않았던 선교사로 부르심을 깨닫고 무작정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떠난다. 
뜻하지 않은 부르심, 하나님의 특이한 개입을 체험한 저자는 하나님의 부르심과 소명에 대해, 복음이 무엇인지에 대해, 선교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독자와 나누고자 한다. 

2. 돈으로 굴러가지 않는 선교―ABBA 신학교의 탄생
남아공의 빈민촌에서 노숙자 사역을 하던 저자는 지금까지 몰랐던 또 다른 모습의 예수를 깨닫는다. ‘바르고 온전한’ 신학의 울타리 안에 계신 무균 상태의 예수님이 아니라, 빈곤과 질병과 고통 가운데 있는 사람들 사이에 계시는 ‘냄새나는’ 예수님이다. 
빈민촌 사역 중에 리더십 양육에 대한 필요를 느낀 그는 현지 선교사님 두 분과 힘을 합해 ABBA(Africa Bible Based Academy) 신학교를 세운다. 유대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로 부를 때 사용한 아람어 아빠(abba)와도 같은 철자로 이름을 지었다. 현지인 지도자와 목회자를 재교육시키고 목회자 후보생을 양성하기 위해 세운 ABBA는 자체 건물이 없는 이동 신학교다. 즉 가르칠 대상이 있는 곳에 강사들이 찾아가서 지역 교회를 빌려 가르치는 방식이므로 처음부터 건물 없이, 큰돈 없이 시작되었고 운영되고 있다.
ABBA는 특정한 한 사람이 정점에 있는 피라미드형 지배 체제가 아닌 원형의 수평적 공조 체제이기에 선교사들의 공동 사역이 가능하다. 윤번제 학장제로 선교사들이 1~2년 임기로 섬기며, 각 지역 캠퍼스의 교장직을 각자 맡아서 책임지는 시스템이므로 학장이 아니더라도 교장이라는 중책을 지기에 결속력이 있다. 선교사 각자가 고유한 사역을 하면서 교육 사역의 일환으로 참여하는 것이기에 세력 다툼이 없고, 건축비와 건물 유지비가 들지 않으므로 학비를 받지 않아도 운영되는 구조다.
선교의 본질은 사람이라는 사고에서 이러한 구상이 가능했다. 저자는 건물부터 세우는 선교 방식이 바람직한지 재고해 보자고 한다. 선교는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3. 아프리카의 고귀한 인간애 정신, 우분투
아프리카 현지인들과 함께하면서 저자는 이들의 시선으로 세상을 보게 된다. 빈곤과 범죄에 빠진 것은 이들이 저주받은 결과인지 아니면 아프리카를 지배했던 나라들의 범죄의 결과인지 질문을 던진다. 
아프리카 땅에는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게 하는 ‘우분투’ 정신이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왔고 현재에도 희미하게나마 남아 있음을 저자는 본다. 우분투의 문자적 의미는 ‘사람됨’이며 공평, 정의, 자비, 아량, 어울림 등의 개념이 들어 있다. 나그네를 음식으로 대접하고, 공동체의 평화를 깨는 도둑질을 징계하며, 화재로 집을 잃은 사람을 마을 사람들이 돌보아 주고 다시 집을 세워 주는 것 등이 바로 우분투 정신이다.
이 우분투 정신은 한국의 ‘정’, ‘두레’와 유사한 인간애, 인류애이다. 저자는 이 우분투 정신을 기독교 정신으로 재해석하여 현지 지도자들이 자신들의 고귀한 정신으로 재무장할 수 있도록 일깨우는 사역을 해왔다. 

차례


추천사 
prologue_하나님께는 낭비된 인생이란 없다 

part 1_ 땅끝에서 부르다
1. 어릴 때 나는 술집 아이였다 / 2. 독종 예수쟁이로 살아남기 / 3. 세상을 바꾸려면 싸워라_쌕쌕이를 추방하다 / 4. 평생 공부하는 목사가 되기 위해 / 5. 사약 사발을 내미신 성령님 / 6. 그가 참 선지자든 거짓 선지자든 / 7. 사랑하는 아들아, 너는 떠나라 

part 2_ 희망봉의 땅에서
1. 남아공으로 떠나다 / 2. 무지개의 나라 남아공 / 3. 빈민촌 목회를 시작하다 / 4. 에이즈 환자에게 올려진 ‘좋은 손’ / 5. 냄새나는 예수 / 6. ABBA 공동 사역 / 7. 공동 사역의 비결 / 8. 봉숭아 성경 학당? / 9. 난 위험한 목사 / 10. 파라나예, ‘우리는 그분과 함께 행복하리라’ / 11. 그 친구 제임스 / 12. 선영아 사랑해 

part 3_ 우분투의 땅 아프리카
1. 어느 아프리카 선교사의 가짜와의 전쟁 / 2. 고아원에 냉장고가 없는 이유 / 3. “야, 임마"라는 말을 듣는 아프리카 / 4. 흑인의 인종적 열등론 / 5. 흑인 저주론, 흑인의 팔자다? / 6. 검은 색은 사악한가? / 7. 우분투란 무엇인가? / 8. 우분투의 현장을 보고 흘린 눈물 

part 4_ 진짜 선교, 가짜 선교
1. 네 가지 유형의 선교사 / 2. 어떤 사이비 선교사 / 3. 퍼주기 선교와 과시적 선교 / 4. 선교는 사람 건축 / 5. 마음을 울컥하게 한 짧은 편지 / 6. 아프리카 복음화는 누가 해야 하나 

part 5_ 복음은 변방의 역사다
1. 나의 파송 교회 이야기 / 2. 미래를 책임질 선교사 자녀들 / 3. 작은 교회 큰 목회 / 4. 그리운 선배들의 바닥정신 / 5. 담임목사 청빙: OO 목회를 잘할 수 있는 분 / 6. 학자의 길로 부르신 하나님 / 7. 내 이름은 아펠레스 

Epilogue_나보다 앞서 가시는 아버지

저자소개


김경열
전남대학교와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을 마치고 목사가 된 후 늦은 나이에 남아프리카공화국 선교사(GMS 소속)가 되었다. 지난 10년간 신학교와 어린이 사역, 그리고 빈민촌 사역을 통해 아프리카 땅을 섬겨 왔다.
한국 복음주의 신학계에서 드문 레위기 해외 박사 학위자이기도 하다. 저자는 자서전적 간증을 엮은 이 책에 그동안 선교지에서 깨달은 경험적 통찰들을 모두 담아낸 뒤, 국내로 돌아와 차세대 한국 교회와 세계 선교를 이끌 영적 지도자와 후학들을 양성할 꿈을 품고 있다. 현재 몇몇 신학교에서 레위기 강해와 오경 강의를 진행하면서, 레위기 주석과 신학 저술, 그리고 국내외 저널에 레위기의 속죄제 관련 논문 기고에 전념하고 있다. 방학 중에는 해외 선교지 강의를 지원하고 미자립 교회 선교 동원 사역을 진행한다. 
아내 김선영과의 사이에 세 아들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