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회복을 위한 교회교육의 실제
교회교육이 회복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교사이다. 헌신적이며 영적인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믿음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헌신적인 교사와 믿음의 학습자에게 성령의 역사가 있을 때 교회교육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람을 변화시키는 주체는 오직 성령님이시기 때문이다.


차례

머리말

제1장 교회교육의 이해
교육과 은유
은유의 정의
일반교육 개념과 은유
기독교교육 개념과 은유

교회교육과 회복
인간관
교사와 학습자
교회교육과 회복의 은유

제2장 교회교육의 개념
교육의 개념
세속교육의 개념
기독교교육의 개념

교회교육의 개념

제3장 교회교육과 신학
신학의 개념

개혁신학과 교회교육
개혁신학
교회교육
개혁신학과 교회교육

제4장 교회교육의 정체성
교육하는 동기

교회교육의 정체성
교회교육의 본질
교회교육의 기초
교회교육의 정체성

제5장 교회교육의 목표
목표 설정의 기초
중요성과 긴급성
비전
성취가능성
판단가능성

목표의 내용
보편적 내용
구체적 내용

제6장 교회교육과 교사
교회교육과 교사
교회학교 교사상
교사의 본질
교사와 가르침

교회교육과 교사의 자질
일반적 측면
특수적 측면

제7장 교회교육과 지도력
지도력
세속적 관점
성경적 관점

교회교육과 영적 지도력
‘영적’ 지도력
영적 ‘지도력’

제8장 교회교육과 제자훈련
교회교육과 교회사역
교회교육과 영적 성숙
영적 성숙과 제자훈련

제자훈련과 성경교수
성경교수의 이유
성경교수의 내용
성경교수의 방법
교회교육과 성경전수

제9장 교회교육과 성장
교회와 성장
교회의 성장
교회의 쇠퇴

교회교육과 교회성장
성경교육의 강화
영성회복과 영성교육
제자훈련의 강화

제10장 교회교육과 미래
교회교육의 흐름
교회교육의 과거
교회교육과 미래세대

교회교육의 미래
교회교육의 방향
교회교육의 회복

색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한춘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71회)을 졸업하였다. 미국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를 거쳐 미국 Indiana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Ph. D. 1985)학위를  받았다. 미국 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1987년부터 현재까지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무처장, 기획실장, 대학원장, 부총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9대 회장(1998), 한국복음주의 기독교교육학회 회장(2002)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운영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저서로는 교회교육: 그 이론과 실제(총신대출판부), 한국교회 교육사(예장총회출판국), 교회교육의 이해(한국로고스연구원), 기독교교육신학(한국기독교교육학회), 교사마스터링(생명의 삶), 성경교수방법론(생명의 삶)이 있다. 기타 교회교육과 교육신학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