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신앙 공동체 형성은 교회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 책은 교회 공동체 연구에 초점을 맞춰서 특별히 공동체에서 실행되는 여러 종류의 모임과 사건 그리고 사역들을 예식의 창을 통하여 교육적 유용성과 중요성을 재분석하고 어떤 교육과정을 통해서 공동체가 발전해 나아가야 하는지를 다룬 연구서이다. 아무런 회복과 변화의 능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죽은 예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참된 예식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종교적 예식, 아무런 회복과 변화의 능력을 나타내지 못하는 죽은 예식이 아니라, 오늘도 성도들의 에배와 교회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여러 가지 예식을 통해 복음의 진리를 깨닫게 하시며 복음의 능력을 나타내시는 예수님의 그 가르침을 사모합니다. 진정한 예식의 참 목적과 의미 그리고 처음부터 하나님께서 원하셨던 예식의 참된 의도를, 교회 공동체 내에서 행해지는 예배 예식과 신앙 예식을 통해 배우고자 하는 모든 예수의 제자 여러분 위에 함께하시기를 소원합니다.
- 감사의 글 중


차례

추천사_김도일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감사의 글
들어가는말

1장 예식을 통한 배움과 몇 가지 주제들에 대한 고찰
도입
빅터 터너의 예식에 관한 이론에 대하여
예식 연구에 관한 맥락적 문헌자료의 종합
본 연구의 목적
용어 정의
본 연구가 당면하는 한계점들에 대한 생각
각 장에 대한 서술적 묘사

2장 예식이 사회화와 변화의 과정에서 갖는 역할
도입
예식을 행하는 것과 사회화와 변화라고 하는 두 가지 교육적 역학 요소
결론

3장 회중 정체성의 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
도입: 후기 현대 사회가 던져 주는 도전과 기회들
회중 정체성 형성과 관련해서 포스트 모던 사회가 주는 도전과 기회
결론

4장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예식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예식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
도입: 예식이 갖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
앎의 과정으로서의 예식의 실천
회중 정체성을 형성하고 키워가는 방법으로서의 예식의 실천과 예식화

5장 사례 연구: 회중 정체성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취임식의 역할
도입: 왜 취임식을 고려해 봐야 하나?
취임식의 맥락에 대한 설정
목사 취임 예식에 대한 묘사
취임식 예배
사회 동화 과정과 변화의 과정으로서의 취임식

6장 교육적 암시와 교훈적 통찰력
도입
교육적 암시와 교훈들
결론: 미래의 기독교 회중을 생각할 때 터너의 ‘경계성’ 개념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부록
교회 회중(Congregation) 연구를 위한 설문지


저자소개

코넬대학, 종교철학과 미술 전공
프린스턴신학대학원, 목회학 석사, 신학 석사
Teachers College, 콜롬비아대학, 교육학 박사
미국 팰리세이드교회, 산돌교회 그리고 소망커뮤니티 교회에서 이민목회
뉴욕신학대학원과 뉴크런스윅신학대학원 객원교수
뉴저지기독교교육대학교 교수 및 학생처장
프린스턴신학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 Reigner도서관 관장
아시안 회중연구 프로젝트, Confluence Research 디렉터
Protestant Abbey Mission(PAM) 영성수련원 선임이사
미국장로교총회 Certified Christian Educator Council 상임이사
French Wood Summer Academy 프로그램 디렉터

전 피츠버그신학대학원, 기독교교육학 교수
현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아시안 어메리칸 프로그램 디렉터

저서
Asian Americans and Christian Ministry (보이스사, 1999), 영문
Ways To Be A Better Teacher (교재발행부, Presbyterian Church, USA 출판, 1999), 영문/한글
Asian Americans and Christian Ministry (Wipf & Stock Publishers, 2009) 영문
Ritual Practices in Congregational Identity Formation (Lexington Books, 2014),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