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는 선교의 기본적인 프레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 선교의 기본 골격을 알게 할 뿐 아니라, 전통적인 선교신학의 대안으로 나타난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장점과 한계를 명쾌하게 분석함으로써, 위기에 처한 21세기 기독교가 추구해야 할 바른 선교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차례

서문 5

1장 선교의 개념 / 17
1. 에큐메니칼 선교 개념의 배경
1) 2차 세계대전 후 전통적 선교에 대한 반성 / 20
2) 세상을 긍정하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 / 21
3) 인간다운 삶을 추구하는 해방신학 / 23
2. 에큐메니칼 선교 개념의 주된 경향
1) 세상을 품는 선교 개념 경향 / 25
2) 폭이 넓어진 선교 개념 경향 / 28
3) 확장이 아닌 공존을 강조하는 선교 개념 경향 / 30
3. 에큐메니칼 선교 개념의 기여점과 한계점
1) 참여도 vs. 정체성 / 32
2) 이 세상 vs. 저 세상 / 34
3) 공존 vs. 본질 / 37
4) 포괄성 vs. 선명성 / 39
4. 요약 및 전망

2장 선교의 목표 / 47
1. 에큐메니칼 선교의 주된 목표들
1) 인간화 / 50
2) JPIC(정의, 평화, 창조질서 보존) / 52
3) 화해와 일치 / 54
2. 에큐메니칼 선교 목표의 특징들
1) 광범위한 포괄성 / 56
2) 세계의 변혁 추구 / 58
3) 목표의 변동성 / 60
4) 우선순위 지양 / 62
3. 에큐메니칼 선교 목표의 명암
1) 포괄성과 효율성 / 64
2) 세계와 교회 / 67
3) 상황성과 항상성 / 71
4. 요약 및 전망

3장 선교의 방법 / 79
1. 에큐메니칼 선교에 나타난 선교 방법들
1) 현존의 삶 / 82
2) 대화와 협력 / 85
3) 구조악 해결을 위한 행동 / 89
2. 에큐메니칼 선교 방법의 명암
1) 단방향성 vs. 양방향성 / 93
2) 급진적 변혁 vs. 점진적 변혁 / 96
3) 사회로 vs. 교회로 / 99
4) 인간의 노력 vs. 하나님의 주권 / 102
3. 요약 및 전망

4장 선교의 내용 / 109
1. 에큐메니칼 선교 내용의 배경
1) 세계에 대한 폭넓어진 관심 / 112
2)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 / 113
3) 창조신학적 이해 / 115
2. 에큐메니칼 선교 내용의 주된 경향들
1) 통전적인 구원 / 116
2) 만유의 화해와 일치 / 120
3) 생명살림 / 123
3. 에큐메니칼 선교 내용의 명암
1) 구원 개념의 확장 / 126
2) 만유의 화해 / 129
3) 생명 개념의 의미 확대 / 131
4. 요약 및 전망

5장 선교의 주체 / 139
1. 달라진 ‘선교 주체’ 개념의 배경
1) 교회의 연약성에 대한 인식 / 142
2) 하나님의 관심에 대한 변화된 이해 / 144
3) 세상에 대한 이해 변화 / 146
2. 에큐메니칼 신학의 ‘선교 주체’ 이해에 나타난 주된 경향
1)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 / 148
2) 세상의 다양한 기구들 / 151
3) 평신도와 가난한 자들 / 153
3. 에큐메니칼 신학의 ‘선교 주체’ 이해의 명암
1) 교정 vs. 약화 / 156
2) 연합 vs. 혼합 / 160
3) 이상 vs. 현실 / 163
4. 요약 및 전망

6장 선교의 대상 / 169
1. 에큐메니칼 선교 관심의 배경
1) 하나님의 선교 개념의 포괄적 관심 / 171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 / 173
3) 갈수록 심각해지는 창조 세계에 대한 위기 의식 / 175
2. 에큐메니칼 선교의 주요 대상
1) 가난한 자들 / 177
2) 소외되고 억눌린 자들 / 180
3) 창조 세계 안의 모든 피조물 / 184
3. 에큐메니칼 신학에 나타난 ‘선교 대상’ 이해의 음과 양
1) 교회의 사회 참여 고양에 도전 / 186
2) 선교 효율성의 감소 가능성 / 188
3) 선교의 편협성 경향 / 191
4. 요약 및 전망

7장 선교의 우선순위 / 199
1. 에큐메니칼 선교 역사에 나타난 우선순위
1) 복음화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의 시기
(1910-1951) / 202
2) 인간화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향의 시기
(1952-1974) / 207
3) 통전성을 추구하는 시기 (1975-현재) / 212
2. 우선순위 지양의 음과 양
1) 균형감에 대한 도전 / 217
2) 개념의 혼란 가능성 / 219
3) 효율성의 감소 가능성 / 222
4) 교회의 약화 가능성 / 224
3. 요약 및 전망

부록 1. English Abstract / 234
부록 2. A Study on‘ Target of Mission’ in Ecumenical Mission Theology / 246


저자소개

안승오

- 성결대학교 졸업
- 장로회신학대학교(M.Div.)
- Fuller Theological Seminary(Th.M.)
- Fuller Theological Seminary(Ph.D.)
- 총회파송 필리핀 선교사
- 풀러신학교 선교대학원 객원교수
- Journal of Asian Mission 편집위원
- 현, 아시아선교연구소(IAM) 연구원
- 「선교와 신학」 편집위원
- 하늘담은교회 협동목사
- 지구촌선교연구원 원장
- 영남신학대학교 선교신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