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리처드 니버의 「그리스도와 문화」 이후 가장 중요한 책이다!

이만열(숙명여대 명예 교수), 백종국(경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근주(기독연구원 느헤미야 전임 연구위원), 정재영(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종교사회학 교수) 추천!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오늘날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공적인 영역에서의 종교의 역할 문제를 다룬다. 과거 근대적 세속 사회에서 종교는 사적인 것으로 치부되어 공적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다양한 종교와 신념이 공적인 영역에서 충돌하는 다원적 현실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로 하여금 다원성이 함의하고 있는 집단 간의 극단적인 상호 배제와 그와는 정반대로 다원주의에 함몰될 양극의 위험성을 안고 살아가게 한다. 이런 현실 인식 속에서 볼프는 종교가 가진 절대적 신앙을 타협하지 않으면서도 신앙인들이 사회의 공동선을 위해 건강하게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 특히 예언자적 종교로서의 기독교 신앙의 공공성에 대한 질문에 분명한 답을 제자도의 맥락에서 제공한다.

저자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들이 어떻게 공공선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지 숙고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기독교가 초래한 잘못된 결과들과 이러한 현상을 ‘기능장애’라 명명하고 1부에서 기독교 신앙의 기능장애를 성찰하고, 2부에서 예언자적 종교로서의 기독교 신앙의 회복을 위한 작업(하나님에 대해 그리고 인간의 번영을 적절하게 이해하는 데)과 비전에 집중한다.


차례

서론

1부 신앙의 기능장애에 맞서
1. 신앙의 기능장애
2. 나태함
3. 강요
4. 인간의 번영

2부 참여하는 신앙
5. 정체성과 차이
6. 지혜를 나누며
7. 공적 참여

결론
감사의 글
주 


저자소개

전 세계 신학자와 종교 지도자들의 주목과 존경을 받고 있는 우리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미로슬라브 볼프는 동유럽 크로아티아 출신으로 크로아티아 복음주의 신학대학(B.A.)과 미국 풀러 신학교(M.A.)에서 공부하고,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위르겐 몰트만의 지도로 박사 학위(Dr. Theol.)와 교수 자격(Dr. Theol. habil)을 취득하였다. 현재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과 윤리학을 가르치고 있고, 예일 신앙과문화연구소(The Yale Center for Faith and Culture) 소장으로도 일하며 종교와 인류 공영의 문제, 세계화, 화해, 직업과 영성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그가 쓴 「배제와 포용」(IVP)은 「크리스채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가 선정한 20세기에 가장 영향력 있는 100권의 종교 서적 중 한 권이고, 「크리스천 센추리」(Christian Century)는 지난 25년 간 나온 책 중 가장 중요한 신학 도서로 이 책을 소개했다. 그 외, <삼위일체와 교회>(새물결플러스, 2012),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국제제자훈련원, 2012), <베풂과 용서>(복있는사람, 2008), <노동의 미래>(한국신학연구소, 2003)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