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로버트 우스노우는 본서에서 20세기를 마감하는 시점에 시민 사회에 관한 논쟁이 강력하게 일어났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이유를 당시 전개된 동유럽에서의 민주주의 투쟁 과정과 그 영향, 근대 국민 국가의 다면적인 확장으로 인한 부작용과 그에 대한 반응 등에서 찾는다. 그러면서 그는 시민 사회의 정체성을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자유가 인정되면서도 개인의 자유가 집합적인 가치나 공동체 참여와 긴장이 유지되고 있는 영역이며, 법과 정치의 강제력이 아니라 결사의 자유에 의해 움직이고, 이윤과 이기심보다는 헌신에 의해 동기부여 되는 삶의 영역들과 관련되는 영역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민 사회에서 기독교는 공공 영역에서 사회 교섭을 증가시키고 도덕에 대한 헌신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그는 본다. 본서는 기독교가 “종교의 세속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이러한 공공성을 어떻게 회복하여 시민 사회의 일원으로서 시민 사회에 기여할지에 대하여 사회학 이론을 토대로 상당히 실제적 사례를 통해 제안한다.

[특징]
1.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세계적인 종교사회학자의 저서
2. 이 시대 한국교회의 이슈에 대한 현명한 대답
3. 사회학자인 역자들의 우스노우 사상에 관한 기고문 수록

[추천 독자]
-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고민하는 그리스도인들
- 기독교 사회학을 연구하는 그리스도인들
- 교회와 기독교 단체들의 지도자들


차례

추천사 1(박영신 박사) 5
추천사 2(김형국 박사) 8
추천사 3(로날드 J. 사이더 박사) 11
역자 서문 13

서문: 시민 사회 논쟁 19

제1장 시민 사회는 위험에 처했는가? 33
1. 시민의 참여 38
2. 종교의 쇠퇴? 43
3. 종교의 공공 역할 55
4. 시민 사회와 시장 62
5. 소그룹 67
6. 영구적인 위험 74

제2장 기독교인은 시민다운가? 77
1. 공공 종교의 회귀 78
2. 시민성에 대한 질문 86
3. 문화 전쟁 92
3. 문화 전쟁을 넘어서 99
4. 공적 신뢰 보호하기 123

제3장 다문화주의와 종교 다양성 129
1. 다양성의 증대 130
2. 종교의 역할 137
3. 정체성 정치로서의 종교 141
4. 실용적 보편주의로서의 종교 151
5. 시민 비평으로서의 종교 160
6. 지적 세련됨을 위한 호소 172

부록 173
1. 현시대 가장 탁월한 종교사회학자 우스노우/ 정재영 박사 173
2. 우스노우의 시민 사회 사상/ 이승훈 박사 199


저자소개

로버트 우스노우(Robert Wuthnow)

·미국 University of Kansas(B.A.)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Ph.D.)
·현, 미국 Princeton University 사회학 교수

저서
· Saving America?: Faith-Based Services and the Future of Civil Soc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 America and the Challenges of Religious Divers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 Small-Town America: Finding Community, Shaping the Futu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