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복음주의 관점에서
한국 선교의 분명한 방향제시


이 책은 한국적 상황에서 세계선교의 부흥을 바라볼 수 있는 선교신학 책으로
대학과 교회에서 선교사역자를 훈련시킬 수 있는 전문교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세계 선교를 통해 영적 부흥을 다시 일으킬 수 있는 복음주의 선교의 기본서입니다.

복음주의 선교신학을 책으로 엮어 세상에 내어놓게 된 것은 절대적인 주님의 은혜입니다. 젊은 시절은 서양의 선교사에 의하여 신앙 육성을 받았습니다. 이후 국제적인 선교기관인CCC(Campus Crusade for Christ)에서 사역하던 중에 귀국하였습니다. 이러한 선교 경험을 토대로 한세대학교를 비롯한 국내의 신학대학, 그리고 방학을 맞이하여 외국의 대학들에서 강의한 내용들을 모아서『복음주의 선교신학』을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는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선교를 제시하였습니다. 교회의 십자가는 높이 있지만 잘못된 혼합주의는 끊임없이 교회를 괴롭히고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복음적인 선교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두 번째는 대학 강단에서나 교회의 선교 세미나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도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한국 교회의 선교 운동을 위해서 유용한 학습서가 되리라 믿습니다. 세 번째는 한국적 상황에서 선교를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저는 선교 현장에서 수없이 많은 서양의 선교사님들과 함께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서구의 합리주의는 선교에 있어서도 헌신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제 한국을 통한 세계선교의 영적 부흥이 놀랍게 일어나게 될 것을 기대합니다.
-저자 서문 중에서



차례

추천사
서문

제1장 선교의 정의
1. 선교는 경계를 넘어감
2. 하나님을 알지 못한 사람들
3. 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4. 복음의 증거
5. 그리스도의 제자화

제2장 복음주의 선교신학
1. 신학의 정의
2. 신학의 역사
3. 신학의 분류
4. 선교신학
5. 현대 복음주의 선교신학

제3장 구약성경과 선교
1. 모세오경 속에서의 선교
2. 출애굽기 속에서의 선교
3. 시편 속에서의 하나님의 선교
4. 이사야서 속에서의 하나님의 선교
5. 요나서 속에서의 하나님의 선교
6. 선지자들 속에서의 하나님의 선교

제4장 예수님의 초림과 하나님 나라
1. 예수님의 초림
2. 예수님의 하나님 나라의 사역 시작
3. 하나님 나라의 다양한 표현들
4. 하나님 나라의 개념 속에 내재된 통치
5. 예수님의 사역 속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특징
6. 그 나라의 비밀
7. 그 나라와 교회
8. 하나님 나라 확장을 위한 복음서의 선교 명령

제5장 기독교 선교의 역사
1. 로마제국 내에서의 선교(33-500)
2. 유럽의 선교와 이슬람과의 투쟁(500-1492)
3. 이슬람의 기독교 세계 정복
4. 로마 가톨릭 선교(1492-1793)
5. 종교개혁과 개신교회의 선교 여명기(1517-1793)
6.개신교회의 선교 도약 및 부흥기(1793-1945)
7. 현대 선교의 특징

제6장 문화와 세계관
1. 문화
2. 문화의 세 가지 차원과 복음전달
3. 교차문화 속의 문화충격
4. 세계관과 선교

제7장 복음주의 상황화 신학
1. 상황화의 선교적 개념
2. 상황화 신학의 모델
3. 상황화에 따른 신학적 문제들
4.상황화 신학을 위한 복음주의적 자세와 방향
5. 복음의 상황화 전략

제8장 조상 제사의 선교 상황화
1. 제사의 종류와 의미
2. 한국의 조상 제사
3. 성경의 제사법
4. 조상 제사와 한국의 기독교
5. 조상 제사의 선교 적용

제9장 복(福) 사랑의 선교적 유비
1. 한국의 종교적 심성에 내재한 복
2. 불교와 유교에서의 복
3. 선교적 유비로서의 “복”

제10장 타종교와 선교
1. 종교의 현상학적 이해
2. 인간의 타락과 종교성
3. 불교
4. 이슬람교

제11장 현대 선교신학의 흐름
1. 선교의 에큐메니컬 운동
2. 에큐메니컬 신학과 선교의 흐름
3. 로잔운동

제12장 뉴에이지 종교혼합 운동
1. 뉴에이지 운동의 정의
2. 뉴에이지 운동의 역사
3. 뉴에이지의 세계관
4. 뉴에이지 운동의 신앙관
5. 뉴에이지 운동의 다양한 활동들
6. 뉴에이지 운동의 대처 방안

제13장 한인 디아스포라의 현상과 선교
1.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특징
2. 한인 디아스포라의 현황과 교회 설립
3. 한인 디아스포라의 해외선교의 특징과 전략

제14장 재한 디아스포라 선교
1. 디아스포라의 성경적 의미
2. 재한 디아스포라의 거주 유형
3. 재한 디아스포라의 한국 거류에 따른 문제들
4. 재한 디아스포라 거류민을 위한 선교 전략

제15장 재정 정책과 선교
1. 선교비의 성경적 기초
2. 선교를 위한 재정 정책
3. 한국의 주요 교단들의 해외 재정 관리
4. 선교지의 재산권

제16장 성경 번역 선교
1. 성경 번역의 의의
2. 성경 번역의 역사
3. 성경 번역과 선교
4. 선경 번역과 언어
5. 성경 번역의 선교 접근과 원칙
6. 한국 교회의 성경 번역 선교 전략

참고문헌


저자소개

전남대 경영대학원 연구과정과 성결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국제 CCC(Campus Crusade for Christ)교육기관인 International Graduate of Leadership(International School of Theology)에서 목회신학 석사(M.Div.),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에서 신학석사(Th.M.)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CCC간사로 사역하는 동안 필리핀 선교사로 파송되어 산타메사 새생명교회(St. Mesa New Life Alliance Church)를 창립하여 섬겼으며, 국내에 귀국하여 세계로 선교교회와 세계로 선교연구원(Christ for All Nations)을 설립하여 사역하였다.

그동안 아산대, 성결대, 그리스도신대, 백석대 대학원, 서울 기독대 대학원에서 강의하였고, 지금은 한세대 선교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은성사에서『바울과 선교신학』, 예닮마을에서『A. B. 심슨의 선교신학』, 세계다문화미디어에서『사도바울의 선교신학』을 출판하였다.


학술 활동으로는 한국복음주의 선교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Asia Pacific Society for International Studies의 한국 대표로 섬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