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을 건다” 이것이 바로 칼빈의 성경 해석의 출발점이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말을 건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확실하게 선지자들이 자기 자신의 의견을 말한 것이 아니라 그들은 성령의 도구였고 단지 그들에게 신성하게 부여된 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는 것을 확신하다” (칼빈의 디모데후서 3장 16절 주석)

성경은 하나님의 위엄을 드러냄으로써 스스로 하나님의 말씀임을 확증한다.

“자신의 제한된 이해력을 텍스트에 강요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텍스트에 자신을 던져 텍스트를 통해서 더 확장된 자신을 얻고, 실제로 텍스트가 제공하는 세계기획에 합당한 실존의 구성을 얻는 것이다”

이것이 칼빈이 추구하는 공동체를 위한 해석과 겸손의 해석이다.


차례

Ι. 칼빈의 성경에 대한 이해
1. 특별계시로서 성경이해
2. 역사적 문서들의 총체로서 성경

Ⅱ. 성경의 권위로서의 영감에 대한 이해
1. 칼빈의 성경영감에 대한 연구 경향
2. 「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성경 영감에 대한 이해
3. 디모데후서 3장 16절에 대한 칼빈의 해석
4. 베드로후서 1장 16~21절
5. 연구 분석 결과

Ⅲ. 성경의 권위로서의 자증성
1. 자증성의 용례 분석
2. 성경의 자증성의 특성

Ⅳ. 구약에 대한 이해
1.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의 근거로서 율법에 대한 이해
2. 이스라엘 백성의 선택사상
3. 유대인에 대한 이해
4. 기독론적 해석의 실례

Ⅴ. 칼빈과 성경해석
1. 칼빈과 인문주의
2. 인문주의자의 성경해석
3. 칼빈의 성경 해석의 원칙: 베드로후서 1:20-21
4. 교회의 합의로서의 전통 대한 이해
5. 알레고리적 해석
6. 칼빈의 성경해석 실례


저자소개

총신대학교 신학과에서 시작된 신학적 고민은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졸업후 독일베를린훔볼트대학교(Humboldt Universitaetzu Berlin)에서 “칼빈의 성경의 권위로서의 성경영감에 대한 이해: 한국 장로교 분열에서 나타난 성경해석과 성경의 권위에 대한 논쟁” 제하로 신학박사학위(Dr.theol)를 취득함으로 결실을 맺었다.

안양대에서의 강의는 한국 사회에서의 기독교 변증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현재 총신대와 칼빈대 등에서의 강의, Refo 500 실행위원으로 종교개혁의 정신을 새롭게 되살려 그 답변을 찾기 위해서 노력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