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난 일들을 역사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유일한 책이다. 오늘날의 과학적 방식에 맞추어 이 시기의 역사를 재구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이 책들이 없이는 이 재구성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동시에 구약성서의 상당 부분의 책이 바로 이 시기에 문서로 작성되었거나 현재의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책들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갖는 것은 이 시기에 집필된 책들을 연구하는 데도 필수적이다. 필자는 이에 본서가 한국 독자들에게도 읽혀지게 될 것임을 생각하면 기쁘기 그지없다.
| 한국 독자들을 위한 저자 서문 중에서 |

본서는 구약 각 권에 대해 영국 구약학계의 최고 권위자들이 신학 입문용으로 집필한 구약가이드(Old Testament Guides)시리즈 중 한권이다. 현재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가장 중요한 주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기에 에스라ㆍ느헤미야서에 입문하려는 독자는 비교적 손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 역자 서문 중에서 |


차례

서문
한국 독자들을 위한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주요 주석서
연대표
서론

1. 자료

01 | 느헤미야 회고록
02 | 에스라 자료
03 | 느헤미야서의 기타 자료들
04 | 에스라 1-6장

2. 형성과 연대
01 | 역대기 사가와 에스라 - 느헤미야 서
02 | 에스드라 1서
03 | 새로운 접근
04 | 연대

3. 역사
01 | 유다 지역의 정치적 상황
02 | 제2 성전 건축
03 |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연대적 순서
04 | 에스라 파견

4. 신학
01 | 구속사의 발전
02 | 연속성과 정당성
03 | 하나님, 왕, 민족
04 | 율법책


저자소개

ㆍ영국 University of Cambridge
ㆍ현, 영국 University of Oxford 히브리어 석좌교수 및 구약저널 Vetus Testamentum 편집위원


|저서|
ㆍStudies in Persian Period History and Historiography (Wipf&stock Pub,2010)
ㆍThe Book Called Isaiah: Deutero-Isaiah’s Role in Composition and Red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5)
ㆍEzra-Nehemiah, Word Biblical Commentary Vol.16 (Thomas Nelson,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