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지구상에 마지막으로 남은 분단국가,
대한민국(ROK)과 조선인민공화국(DPRK)

이런 각각 다른 국가의 칭호를 쓰는 것도 마음이 전혀 편치 않다. 도대체 왜 아직까지 한민족은 둘로 나뉘어 살아야 하는가? 중원을 호령하며 세계의 중심 국가로 존재하며 멋지게 호연지기를 키우며 살았던 우리 민족이 두동강이가 나서 살아온 지 벌써 반세기가 훨씬 지났다. 그 사이 전쟁을 겪었던 세대들은 대게 저세상 사람이 되었고 그들의 자녀들이 또 자녀를 낳았다. 이제는 세 번째 세대가 주역으로 활동하는 세상이 되었다. 이제 남북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는 하나의 담론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실현가능성을 얘기하기에는 너무도 요원하며 부담을 느끼는 젊은 세대가 많아지는 형국이 되어가고 있다.
과연 이런 시대에 조화로운 통일을 위한 기독교교육이 가능할까?


차례

서문: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연구총서를 내며_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소장 김영동
추천의 글: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이사장 이철신 목사_ 영락교회 담임

여는 글
제1장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제2장 북한교육의 교조화 및 종교성 이해_ 북한 소학교 교과서 '경애하는 수령 임일성 대원수님 어린시절'분석
제3장 남북한 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한 조화교육의 모색
제4장 이해를 향한 마음가짐을 위한 기독교교육사상_ 파커 J. 파머를 중심으로
제5장 현실과의 소통을 통한 기독교교육사상_ 파울로 프레이리를 중심으로
제6장 화해로서의 해석화 과정을 촉진하는 기독교교육사상_ 토마스 그룸을 중심으로
제7장 과정으로서의 조화를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사상_ 메리 엘리자베스 무어를 중심으로
제8장 평화통일을 위해 실력을 배양하는 교육사상_ 안창호를 중심으로
제9장 실제적 통일을 위한 복민 교육사상_ 김용기를 중심으로
닫는 글


저자소개

저자는 장로교 목사이며 기독교교육학자이다. 청년시절 미국에 이민을 가서 이민목회를 하였다. Biola University에서 기독교교육학 학사 및 석사,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 Presbyterian School of Christian Education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회장과 한국컴패션 감사를 역임하였고,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기획정보처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대외협력처장으로 장신대를 섬기면서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책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1998)
맑은 영성 맑은 가르침(2003)
현대 기독교교육의 흐름과 중심사상(2010)
온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2011)이하 공저
신학이란 무엇인가(1998)
기독교와 한반도 평화정착, 성장하는 부모 성장하는 자녀(1998)
기독교교육학 개론(하), 교회란 무엇인가?(1999)
21세기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2002)
창의적 목회신학(2003)
21세기 기독교교육 신학, 이론, 실천(2004)
기독교 커뮤니케이션(2004)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2006)
평화와 기독교교육(2007)
디모데전후서, 디도서(2008)
기독교교육사, 21세기 한국교회교육의 과제와 전망(2008)
기독교교육에 생기를 불어넣어주는 일곱주제(2009)
기독교 영성교육(2009)
현대기독교교육의 흐름과 중심사상(2010)
은혜로운 말씀: 생명과 평화의 길(2011)
데살로니가전후서(2011)
오바댜, 요나, 미가서(2012)
기독교교육의 새 모델들(2012)
역사, 오늘로 걸어나오다(2012)

옮긴 책
Michael L. Peterson,「기독교교육을 위한 교육철학」(1998), Mary Boys. ed.,「제자직과 시민직을 위한 기독교교육」(1999), Thomas Groome,「생명을 위한 교육」(2001), Fed B. Craddock,「현대 성서주석: 빌립보서」(2001), Thomas C. Oden, 「현대 성서주석: 디모데 전후서, 디도서」(2002), Maria Harris,「가르침과 종교적 상상력」(2003), Iris Cully,「성경과 기독교교육」(2004), Horace Bushnell,「기독교적 양육」(2004), Jim Wilhoit, ed.,「발달 주의적 시각으로 본 기독교적 양육」(2005, 공역), George Albert Coe,「종교교육 사회론」(2006), Walter Brueggemann,「창조적인 말씀을 통한 기독교교육」(1999,공역), Charles Melchurt,「지혜를 위한 교육」(2002, 공역), Robert W. Pazmino,「권위 있는 가르침」(2002, 공역), Robert Stein,「예수의 가르침에 나타난 방법과 메시지」(2004,공역), Randolph C. Miller,「기독교교육의 단서」(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