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기독교 영성의 본질과 생동감을 추구

오늘날 사람들이 뜨겁게 토론하는 주제 중 하나는 아마도 기독교 영성일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독교 영성에 대한 정립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차원에서 기독교 영성을 접근하고 있습니다. 어떤 이는 영성을 너무 무가치한 것으로, 어떤 이는 종교 다원주의로, 그리고 어떤 이는 기존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기독교 영성의 생명력은 점점 상실되고 있습니다. 필자는 위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그리고 우리와 함께하는 지체들에게 영성의 글을 제공함으로써 기독교 영성의 본질과 생동감을 추구하고자 졸작이지만 용기를 내어 책으로 출판하였습니다.
_ 서문 중에서


차례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연구의 의의
제2장 기독교 영성의 이해
1. 기독교 영성의 역사
2. 기독교 영성의 정의
3. 예수의 영성 이해
4. 바울의 영성 이해
제3장 기독교 영성 형성 이해
1. 영성 형성의 이해
2. 상승 모델에 따른 영성 형성 이해
3. 영성 형성의 4단계
4. 과정으로서의 영성 형성에 대한 성경적 이해
5. 목회 현장의 적용: 영성 형성의 7단계
제4장 기독교 영성 훈련 이해
1. 기독교 영성 훈련의 의미
2. 기독교 영성 훈련의 필요성
3. 영성 훈련의 역사적 이해
제5장 기독교 영성 형성을 위한 훈련 방법들
1. 영성 형성을 위한 다양한 훈련 방법들
2. 영성 형성을 위한 훈련:
말씀 훈련(Lectio-Divina)과 기도 훈련
제6장 열린교회의 영성 형성과 훈련
1. 열린교회 목회철학
2. 열린교회 목표와 사역
제7장 결론
1. 요약
2. 제안
참고문헌


저자소개

조선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M.Div)와 동 대학원(역사신학Th.M졸 / 역사신학Th.수료), 풀러신학교(목회학 한국어 과정, D.Min)에서 공부했으며, 현재 광주 열린교회 부목사와 기독교 영성 훈련원 강사로 성도들을 섬기고 있다. 또한 그는 교회 전통 속에 흐르고 있는 영성 형성과 훈련, 그리고 기독교 영성의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성 버나드의 개혁영성>, <도서출판영성네트워크, 2012>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