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3만 독자의 삶을 가슴 뛰게 만들었던
김병년 목사의 「난 당신이 좋아」 그 두 번째 이야기!
흔들리며 걸어가는 모든 인생에게 들려주는 또 한 번의 응원!


“바람이 불어왔다. 그리고 그 바람 때문에 중심이 이동했다.
나에게서 하나님께로. 우리에게서 그분께로.
그래, 우리는 살아간다. 바람이 불어도.”

김동호(높은뜻연합선교회 목사), 김응교(숙명여대 교수), 변상욱(CBS 대기자), 이저선(「지선아 사랑해」 저자) 추천

2005년 뇌경색으로 아내가 쓰러진 후, 저자는 신경이 마비된 아내와 세 아이를 돌보며 “죽음과 거의 다르지 않은 삶”을 살아왔다. 이 책은 8년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일상이 되어 버린 고통을 마주하고 생을 끌어안기 위해 몸부림쳐 온 한 남자의 삶과 성찰을 담은 것이다. 전작 「난 당신이 좋아」에서 말하지 못한 저자의 더욱 솔직한 현실과 솔직한 감정들, 처절한 실존에서 온몸으로 배운 신학적 깨달음을 올올이 풀어낸다.
이 세상은 고통을 무시하고 어떻게든 그것을 없애려 하고 고통 없는 삶이 행복한 삶이라 믿지만, 저자는 ‘고통을 삶의 한 부분으로 수용하고, 고통 안에서 믿음으로 걷는 삶’에 대해 말한다. 그리고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진리를 옹골차게 역설한다. 진정한 믿음이란 고통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고통에도 불구하고 신실하게 걷는 것이며, 하나님의 전능이란 문제 해결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고통받는 사랑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출판사 리뷰>

진정한 믿음은, 고통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 신실하게 걸어가는 것이다.

“나는 고통을 드러내기보다는 삼켜야 하고, 삼킨 고통이 삶을 삼켜 버려도 야멸차게 외면하는 이 거짓된 세대를 고발하는 심정으로 이 책을 썼다. 나는 위선을 조장하는 세상을 향해, 당당하게 고통을 드러내도록 도전하고 싶었다. 아픔을 숨기고 집안에만 은둔하는 환자가 아니라, 고통을 드러내고 함께 사는 사회인으로 살아가는 환자들의 생존을 말하고 싶었다. 고통도 삶의 한 모습이기에.”
저자는 온몸으로 고통에 저항하지만, 동시에 그와 같은 거짓 신화에도 저항한다. 우리의 존재 의미는 오로지 고통 없이 살아가는 것에 있는가? 고통을 제거해야만 한 사람의 믿음이 입증되는가? 하나님은 고통을 없애 주셔야만 능력 있는 분이 되는 것인가? 아니다. 그는 고통에 대한 오랜 항거와 질문 끝에 고통과의 화해에 이르고, 중요한 결론에 도달한다. “고통은 삶의 한 부분이다. 고통 속에서도 신실하게 삶의 여정을 걷는 것이 바로 참된 믿음이다.”
이 책에는 이와 같은 극적인 장면들이 빼곡히 박혀 있다. 그의 이야기가 기존의 통속적인 이야기들과 다른 까닭은, 고통을 온몸에 새기고 고통받는 하나님께 집요하게 나아가는 정직한 인간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 하나님은 전능하시다. 고통 중에 거하시는 하나님이 우리 하나님이시다. 하나님은 고통을 참는 데 전능하시다. 죄인들과 함께 사는 데 전능하시다. 아멘.”(9장 중에서) 고통의 맨살과 온몸으로 닿아 있는 그의 처절하고도 솔직한 외로움, 두려움, 분노를 함께 느끼고, 그 가운데 피어나는 찬란한 기쁨도 함께 느끼며, 우리 역시 그와 같은 실존을 의연히 살아갈 힘을 얻을 것 같다. 바람에 흔들리며 피어나는 꽃처럼, 고통과 행복과 불확실성이 뒤엉긴 현실 가운데서도 용기 있게 걸어가는 것이 진짜 삶이고 그것이 거룩의 의미임을 본서는 온 삶으로 증거한다.

차례



들어가는 글

1부 흔들리며 피는 꽃
1. 내일이 닫힐 때
2. 가시에서 꽃이 핀다
3. 상한 갈대처럼

2부 천천히, 함께, 그날까지
4. 임마누엘
5. 죽음이 갈라놓을 때까지
6. 나도 인간입니다
7. 좀 울게 내버려두오
8. 돈 없이 살아가기
9. 하나님의 전능

나오는 글
후기

 

 


 

저자소개

 

김병년
고통이 빚은 아름다운 희망의 메신저. 혹독한 삶이 온몸에 고통을 새긴 이후, 몸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2005년 8월에 셋째 아이를 낳은 아내가 뇌경색으로 쓰러지고 온 가족이 감내해야 했던 고통의 일상을, 첫 책 「난 당신이 좋아」에 담았다. 두 번째 책 「바람 불어도 좋아」는, 고통을 삶의 한 부분으로 수용하고 하루하루를 견디어 나가는 실존 속에서 하나님을 대면하고 삶의 본질을 성찰한 이야기를 담은 글이다. 또한 수천 명의 친구들이, 그가 페이스북에서 나누는 따듯하고 감동 어린 일상 수기를 읽으며 삶을 공유하고 있다.      
  오늘도 그는 병상에 누운 아내와 사랑하는 아이들 윤영, 윤서, 윤지, 그리고 다드림교회 식구들을 포함한 전국각지의 수많은 벗들과 고난의 여정을 어느 때보다 풍성하고 은혜롭게 걷고 있다. 아내를 포함한 많은 아픈 이들이 차별받지 않고 함께 살아가도록,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동체를 만드는 꿈을 꾸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15년간 IVF 간사로 일하다, 다드림교회를 개척하여 목사로 섬기고 있다.
www.dadreamchurch.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