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세계 최고 권위 있는 주석 앵커바이블 요한복음 국내 출시!

전 세계 역사상 주석 시리즈 중 단연 최고라고 할 수 있는 앵커바이블 프로젝트의 요한복음 주석의 번역이다. 저자인 레이몬드 브라운은 유니온 신학교의 성경신학 명예 교수였으며, 전 세계 개신교와 가톨릭 계열 대학에서 30여개의 박사학위를 받았다. 두 명의 교황으로 부터 교황 성경 위원회(Pontifical Biblical Commission)의 회원으로 지목되었으며, 성경 문학 협회(SIBL, 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와 가톨릭 성서 협회(Catholic Biblical Association), 신약 성경 연구 협회 (the Society of New Testament Studies)의 회장직을 맡기도 했다. 2권으로 구성된 요한복음 주석 중 1권 표적의 책에 해당한다. 요한복음의 서론과 신학을 포함하고 있는 본서는 예수께서 행하신 표적의 참된 의미를 추적할 수 있게 한다. 특별히 관련된 수많은 사본들의 이문들을 일일이 대조 분석하며, 역사적으로 논란이 되어온 구절들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는 주석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의 독보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특징]
- 앵커바이블 주석 국내 첫 번역
- 요한복음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 출처 및 다양한 해석에 대한 비판적 평가
- 레이몬드 브라운의 헬라어에 대한 해박한 지식

[추천 독자]
- 요한복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원하는 독자
- 요한복음을 강해 설교를 준비하는 목회자
- 요한복음의 깊이 있는 이해를 원하는 독자


차례


서론
1. 요한복음 연구 현황

2. 제4복음서의 통일성 및 구성
1. 문제점
2. 해결책들
1) 우연한 도치이론
2) 다양한 자료이론
3) 다양한 편집이론
3. 본서에 적용할 이론

3. 제4복음서의 배후 전승
1. 요한복음에서만 발견되는 정보의 가치
2. 공관복음에 대한 의존 문제
3.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재구성에 있어서 요한복음의 가치

4. 제4복음서의 종교적 사상에 영향을 준 요소
1. 영지주의
1) 요한복음과 기독교 영지주의
2) 요한복음과 재구성된 기독교 이전 영지주의
2. 헬라 사상
1) 요한복음과 헬라 철학
2) 요한복음과 필론
3) 요한복음과 헤르메스주의 문헌
3. 팔레스타인 유대교
1) 요한복음과 구약성경
2) 요한복음과 랍비 유대교
3) 요한복음과 쿰란

5. 제4복음서의 기록 목적 및 동기
1. 세례 요한 추종자들에 대한 변증
2. 유대인과의 논쟁
1) 유대인의 불신앙에 맞선 기독교 교리의 정당화
2) 디아스포라 회당에 있는 유대 그리스도인에 대한 호소
3. 기독교 이단에 대한 논쟁
4. 예수를 믿는 이방인, 유대인 및 그리스도인에 대한 권면
6. 요한복음 최종 형태의 기록 연대
1. 가장 늦은 연대
2. 가장 빠른 연대

7. 저자 및 기록 장소
1. 저자에 대한 외적 증거
2. 저자에 대한 내적 증거
3. 요한저작설과 오늘날 구성 이론과의 상호관계
4. 기록 장소

8. 요한복음 신학의 핵심적 논제
1. 교회론
2. 성례론
3. 종말론
4. 지혜 모티브

9. 요한복음의 언어, 사본, 형식 및 문체
1. 요한복음의 언어
2. 헬라어 사본
3. 요한복음 강화의 시적 형태
4. 요한복음의 문체적 특징

10. 요한복음 개요
1. 복음서 전체에 대한 개요
2. 표적의 책에 대한 개요

11. 요한복음 관련 참고문헌

I. 서문

1. 서론적 찬양(1:1-18)

II. 표적의 책

|제1부| 예수님의 계시의 시작

2. 세례 요한의 증언: 자신의 역할에 관해(1:19-28)
3. 세례 요한의 예수님에 관한 증언(1:29-34)
4. 세례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옴: 처음 두 제자와 시몬 베드로(1:35-42)
5. 세례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옴: 빌립과 나다나엘(1:43-51)

|제2부| 가나에서 가나까지

6. 갈릴리 가나에서의 첫 번째 표적: 물이 포도주가 되게 하심(2:1-11)
7. 예수님이 가버나움에 가심(2:12)
8. 예루살렘 성전의 정화(2:13-22)
9. 예수님에 대한 예루살렘의 반응(2:23-25)
10. 예루살렘에서 니고데모와의 대화(3:1-21)
11. 세례 요한의 마지막 증언(3:22-30)
12. 강화를 마침(3:31-36)
13. 예수님이 유대를 떠나심(4:1-3)
14. 야곱의 우물 곁에서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4:4-42)
15. 예수님이 갈릴리로 들어가심(4:43-45)
16. 갈릴리 가나에서의 두 번째 표적: 왕의 신하의 아들을 고치심(4:46-54)

|제3부| 예수님과 유대인의 주요 절기

17. 안식일의 예수님: 베데스다에서의 치유(5:1-15)
18. 안식일의 예수님: 안식일에 일하는 것에 대한 강화(5:16-30)
19. 안식일의 예수님: 안식일에 일하는 것에 대한 강화(계속, 5:31-47)
20. 유월절의 예수님: 오병이어의 기적(6:1-15)
21. 유월절의 예수님: 갈릴리 바다 위로 걸으심(6:16-21)
22. 유월절의 예수님: 무리가 예수께 나아옴(6:22-24)
23. 유월절의 예수님: 생명의 떡 강화에 대한 서문(6:25-34)
24. 유월절의 예수님: 생명의 떡에 관한 강화(6:35-50)
25. 유월절의 예수님: 생명의 떡 강화(계속, 6:51-59)
26. 유월절의 예수님: 생명의 떡 강화에 대한 반응(6:60-71)
27. 성전에서의 예수님: 서론(7:1-13)
28. 성전에서의 예수님: 장면 I(7:14-36)
29. 성전에서의 예수님: 장면 II(7:37-52)
30. 간음한 여자에 관한 이야기(7:53, 8:1-11)
31. 성전에서의 예수님: 장면 III(8:12-20)
32. 성전에서의 예수님: 장면 III(계속, 8:21-30)
33. 성전에서의 예수님: 장면 III(계속, 8:31-59)
34. 성전에서 나가신 후: 맹인 된 사람을 고치심(9:1-41)
35. 초막절의 영향: 양의 문이요 목자이신 예수님(10:1-21)
36. 수전절의 예수님: 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님(10:22-39)
37. 공생애에 대한 분명한 결론(10:40-42)

|제4부| 예수님이 죽음과 영광의 때를 향하여 나아가신다

38. 예수님이 사람들에게 생명을 주신다: 나사로의 이야기(11:1-44)
39. 사람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모의하다: 산헤드린(11:45-54)
40. 예수님은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실 것인가?(11:55-57)
41. 유월절과 죽음을 준비하는 예비적인 장면들: 베다니에서 향유를 붓다(12:1-8)
42. 유월절과 죽음을 준비하는 장면들: 예루살렘 입성(12:9-19)
43. 유월절과 죽음을 준비하는 예비적인 장면: 때가 왔다(12:20-36)

|결론| 예수님의 사역의 평가와 요약
44. 자기 백성을 위한 예수님의 사역에 대한 평가(12:37-43)
45. 선포의 요약으로 사용된 독자적인 예수님의 강화(12:44-50)

|부록|
I. 요한의 용어
II. “말씀”
III. 표적과 일
IV. EG

저자소개


레이몬드 E. 브라운

Raymond E. Brown

미국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B.A., M.A.)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Ph.D.)
미국 Union Theological Seminary 신약학 교수


저서

An Introduction to the Gospel of John, 2003(요한복음개론, CLC)
The Birth of the Messiah(Yale University Press, 1999)
The Death of the Messiah(Yale University Press, 1998)
An Introduction of the New Testament, 1997(신약개론, CLC)
The Epistles of John(Yale University Press, 1995)
The Community of the Beloved Disciple,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