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1561 벨직 신앙고백
1563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1566 제2 스위스 신앙고백
164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1648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

개혁파 교회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다양한 신앙고백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16세기 개혁파 교회의 교회개혁은 각 지역에서의 토론과 논증(disputatio)를 통해, 자신들의 신앙고백을 제정하고 고백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혁파 교회’라는 하나의 일치된 공동체에 속하면서도, 각각 자신드란의고유한 신앙고백을 소유함으로써 신학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즉 개혁파 교회는 교회시낙의 다양성과 일치성이라는 풍성함을 처음부터 보여주었던 것이다. 교리주의에 의한 편협한 신학적 이데올로기로 침몰하는 것이 아니라, 개혁파 교회의 지체들은 각각의고유한 신앙고백 또는 교리를 서로 인정함으로, 자신들의 신학적 스펙트럼의 넉넉함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개혁파 교회의 선조들이 보여주었던 이러한 ‘교회 신학적 자세’는 오늘날의 교리적 또는 실천적 교회논쟁에 대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여 준다.
- 저자 서문 중에서



차례

일러두기
저자 서문

개혁파 신앙고백 해설
벨직 신앙고백(Ecclesiarum Belgicarm Confessio, 1561)해설
제2 스위스 신앙고백(Confessio Helvetica Posterior, 1566) 해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형성과 특징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형성과 특징

개혁파 신앙고백 대조
하나님에 관하여
계시에 관하여
성경에 관하여
외경에 관하여
삼위일체에 관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에 관하여
성령 하나님에 관하여
하나님의 작정과 예정에 관하여
창조에 관하여
섭리에 관하여
타락, 원죄, 형벌에 관하여
하나님의 사람과의 언약에 관하여
자유의지와 인간의 능력에 관하여
중보자 그리스도에 관하여
그리스도의 이름에 관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본성에 관하여
그리스도의 직무에 관하여
예수 그리스도의상태론(status)에 관하여
그리스도 안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인자하심에 관하여
복음의 약속에 관하여
일반은총과 외적 소명에 관하여
효과적인 부르심과 중생에 관하여
구원받는 믿음에 관하여
칭의에 관하여
성화에 관하여
양자 됨에 관하여
회개와 개종에 관하여
선행에 관하여
견인에 관하여
구원의 확신에 관하여
하나님의 율법에 관하여
제1 계명에 관하여
제2 계명에 관하여
제3 계명에 관하여
제4 계명에 관하여
제5 계명에 관하여
제6 계명에 관하여
제7 계명에 관하여
제8 계명에 관하여
제9 계명에 관하여
제10 계명과 적용에 관하여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관하여
기도와 금식에 관하여
주기도문에 관하여
교회에 관하여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성도의 교제에 관하여
교회 정치와 직분에 관하여
은혜의 방편: 말씀과 성례전에 관하여
세례에 관하여
주님의 만찬에 관하여
관헌에 관하여
독신, 결혼, 이혼 그리고 가족생활에 관하여
죽음으로부터의 부활에 관하여
마지막 심판과 영원에 관하여


저자소개

김산덕

일본 동경신학교
영국 Aberdeen University(Th. M., Ph.D.)
일본선교사(1990-2010)
개신대학원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저서 및 역서
『프로테스탄트 스콜라주의 재고찰』(동경,2008)
『언약카테키즘』(Donald van Dyken,Fukuroi,2009)
『칼빈의 교회론』(와타나베 노부오,칼빈 아카데미, 2010)
『일본교회사』(오노 시즈오, 칼빈 아카데미, 2012)
Samuel Rutheerford: An Introduciton to His Theology Contributor(Edinburgh, 2012)

서재주

경남대학교 철학과(B.A.)
개신대학원대학교(M.Div.)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Th.D., Ph.D.)
개신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저서
『칼빈의 구원론』(도서출판 기쁜날, 2010)
“칼빈신학의 구원론적 구조와 그리스도 은혜의 유익의 중요성”「개신논집 9」, 2009.
“칼빈『기독교 강요』에 나타난 경건의 의미” 「개신논집 10」, 2010.
“칼 바르트의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개신논집 11」, 2011.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초기 한국교회의 신학적 특성과 의의”「개신논집 12」,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