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집사가 타 직분자보다‘존경’을 적게 받는 이유가 무엇일까?
집사가 되는 것은 장로가 되기 위한 ‘단계’로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장로교단과 침례교단의 분리도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에 하나가 이러한 직분의 문제일 수 있다.
현대 교회에 집사가 목사나 장로보다 더 존경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현대 교회의 큰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장로교회에서 집사가 되는 것은 장로가 되기 위한 하나의‘단계’로 보고 있고 그리고‘계급’적인 생각 때문에 목사, 장로, 집사의 서열로 생각하고 있으며 세 번째 단계의 제일 낮은 서열에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침례교회나 조합교회는 장로의 제도가 없기 때문에 집사를 장로와 같이 생각하고 있어 존경의 대상이다.
집사들이 교회를 봉사하기 위하여 직분을 받은 것이 아니라 직분을 가졌다는 ‘공명심이나 혹은 명예심’ 때문에 좋아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집사들은 명목상의 직분자이기 때문에 이들을 통하여 진정한 봉사나 헌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신자들이 하나님의 교회를 세속화시켰고 지금도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집사직분이 요구하는 그 알맹이를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는 직분에 대한 바른 성경의 가르침을 교육받지 못한 이유 때문이다.
결국 한국교회가 교육이 결여 된 서리집사를 남발하므로 인하여 성직에 대한 존경도가 추락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해마다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서리집사 임명을 재고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차례


차례
감사인사
차례

Ⅰ. 서론

Ⅱ. 집사 직분의 기원
어원 연구/ 구약
신약
사도행전6:1-6의 주석적 연구
사마리아 사람들과 히브리 사람들
구제에서 과부가 무시됨
누가 공동체
해결책

Ⅲ. 초기 교회에서의 집사 직분
1.집사들 : 남자 집사와 여자 집사
2. 부집사와 집사 장
Ⅳ. 교회사에 있어서 남자 집사와 여자 집사의 직무
초대교회
중세에서 종교개혁 시대까지
현대

Ⅴ. 집사의 자격
자격

Ⅵ. 집사의 의무
구제의 사역
재정관리
다양한 봉사
청지기들의 주일성수 개념
청지기와 헌금생활의 개념
청지기와 기도 생활
청지기와 전도 생활

Ⅶ. 목사와 장로의 조력자
목사와 집사와의 관계

Ⅷ. 직분을 잘 수행한 자들의 상급

Ⅸ. 최종 결론

부록A
부록B
부록C

적요(Abstract)
참고문헌


저자소개


임종수

거창고등학교 졸업
고신대학교 졸업
고려신학대학원 졸업
The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기독교교육학 석사 수료)
The Palmer Theological Seminary
(목회학박사 취득)

재미한인예수교장로회 총회장 역임
부산 성도고등학교 교목실장 역임
CTS 이사역임
부산 제2영도교회 담임목사 역임
부산 문현제일교회 담임목사 역임
애틀란타 염광장로교회 담임목사 역임
한국 기독교 총무단 회장 역임
한국 장로교 총 연합회 총무역임
한국 기독교 총연합회 감사(현)
한국기독교 총연합회 신학위원회 서기(현)
한국기독교 총연합회 총무협의회 회장(현)
WEA 한국사무총장(2014년 한국대회)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총회 사무총장 역임
(2004.9-2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