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나는 복음이 확장될 수 있도록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이 일이 성공할 수 있도록 나는 밤낮으로 기도하고 있습니다. 마가복음이 거의 완성되었습니다. 다섯 명의 나의 동포들이 나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이미 세례를 받았습니다. 성경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장차 기독교인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숫자가 매일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는 매우 진지하게 여러분들이 여기 한국선교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이들과 상의할 수 있는 어떤 사람을 일본에 보내 스스로 한국선교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을 요청합니다. 이것은 가장 훌륭하고 안전한 계획이라고 나는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나의 말에 주의를 기울여 주기를 간구합니다. 만일 나의 요구가 허락된다면 나의 기쁨은 이루 형언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종, 이수정.”
_선교사 이수정이 미국에 보낸 선교사 요청 호소문 중에서

◆ 이 책은 이수정이라는 한 인물을 주로 다루고 있지만 그의 생애와 선교사역을 전기문 형태로 쓴 책이 아님을 밝혀두며, 이수정이 약 40개월 동안 일본에서의 선교사역을 통해 한국을 선교한 그의 생애와 선교방법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하나님께서 세계복음화를 위해 일찍이 그를 조선 복음화의 통로로 사용하였는데, 그의 연구를 통하여 오늘날 한국 기독교 선교와 세계선교에 어떤 영향력을 주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저자 머리말 중에서>

◆ 1884년에 최초로 한글 성경을 번역한 선교사 이수정의 마가복음 수록



차례

제1장 이수정은 누구인가?
출생 과정 / 명성황후를 구출한 공헌 / 일본 방문과 쯔다센의 만남 / 회심과 세례
제3회 전국 기독교도 대친목회에서 대표기도

제2장 한글 성경 번역가로서의 이수정
현토한한신약성서(縣吐漢韓新約聖書) / 신약마가젼복음셔언하ㅣ번역 / 누가복음과 요한복음 한글 번역

제3장 한인 디아스포라 선교와 이수정
유학생 선교 / 최초의 한인 주일학교 설립 / 이수정과 윤치호 / 최초의 동경한인교회 설립

제4장선교 동원가로서의 이수정
선교사 유치운동의 동기 / 선교사 파송 요청 / 선교사 요청에 대한 결과

제5장 문서선교와 이수정
요리문답 번역 / 랑자회개ㅣ(浪者悔改), 천도소원(天道遡原) 번역 / 조선일본선린호화 1권(朝鮮日本善隣互話 1券)
기타 문서들

제6장 한글 보급과 이수정
한글 대중화 발전에 공헌 / 여성의 지위 향상과 교육의 기회 / 민족주의 주체의식 확립
한국사회와 문화발전에 공헌 / 교회성장과 토착교회에 공헌

제7장 순교자로서의 이수정
순교 / 선교적 리더십

제8장 이수정을 통한 현대선교의 적용 방법
성경번역을 통한 선교 / 교회설립을 통한 선교 / 주일학교를 통한 선교 / 한인 디아스포라의 한글학교를 통한 선교
유학생을 통한 선교 / 문서를 통한 선교 / 의료를 통한 선교 / 평신도 전문인 선교사를 통한 선교
선교하시는 성령의 역사를 통한 선교
●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부록


이수정 생애 연보
이수정 역 신약마가젼복음셔언하



저자소개

이수환

✽학력
성결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총신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 리더십 전공으로 선교학 석사(M.A.)
한세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으로 목회학석사(M.Div.)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Th.M.)으로 수학
성결대학교신학전문대학원에서 선교신학으로 신학석사(Th.M.)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선교신학으로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경력
현재 한국디아스포라선교회 회원, 한국다문화진흥학회 서기,
한국세계선교협의회 국제문화예술기구(TCI) 전문이사,
한국성결선교학회 회장, 한국세계유학생선교협의회(KOWSMA) 지도위원, CBS한일연합선교회 운영이사, 고천성결교회 수석부목사,
미국 예슈아대학교(Yeshua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교수, 성결대학교 외래교수로 강의하고 있다.

✽저서
『선교와 영적전쟁』(한국학술정보), 『성경을 보면 선교가 보인다』(한국학술정보), 『전문인 선교론』(한국학술정보), 『21세기 선교와 종교현상학』(한국학술정보), 『상황화 선교신학』(한국학술정보) 외 공저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자 연락처
이 메 일 soo-hwanlee@hanmail.net
트 위 터 twitter.com/ soohwan22
페이스북 facebook.com/ soohwan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