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우리는 예상하지 못했던 고통, 불행 따위의 견디기 어려운 상황에 부딪힐 때 “왜 나인가?” why me? 라는 도전적이고 불만불평성의 항의를 제기하게 된다. 이 때 누구에게 항의할 것인가? 분명한 대상을 찾기 어려운 문제다. 여기서 자신의 정체성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
김 시인은 시 전편을 통해 이러저러한 독백 끝에 “그 분의 손에 맡기라고……” 침착하게 부정적인 자아에게 타이른다. 홀연히 다가온, 갈등하고 절망하는 그 비극성의 인생 여정에서 자기의 정체성을 알고 싶은 것, 자기 존엄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종교적 세계관이 새 생명의 씨앗처럼 솟아난 것이다.
- 발문에서


차례

서문

1부 고독, 고맙습니다
단풍잎의 추억
주님! 괜찮습니다
그분의 손에 맡기라고
호흡이 멈출지라도
나에게 절망이란
아름다운 황혼
새 소망
고독, 고맙습니다
우리 웃어요
사랑하는 사람들
묶어 두고픈 시간
주님!
불꽃
병실의 기도
방문객
삶이란
누워서 본 하늘
불면의 밤
깨어 있는 밤
꿈이 된 그리움
기다림
기도 속의 고요
잃어버린 너를 찾으며
나의 언어, 나의 노래
외로운 섬
고독이란
봄이 오면
아들의 눈물
침묵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 끝나는 날이에요
오늘의 명상
겨울 숲길
이별이 서러운 건
봄도 서러워라
꽃밭에서

2부 커피 향내에 묻어오는 그리움
강가에서
목련 앞에서
복숭아꽃이 필 때
오월의 숲
아카시아 향기
하늘과 바다
여행
까보다로까의 등대
다뉴브 강의 유람선
종착역
중년의 풍경
보름달
봄산
거울 앞에서
아들 군대 가는 날
노인과 수레
바다
낙엽
갈대
커피 향내에 묻어오는 그리움

기다림
가을비
석양
코스모스
추억의 주홍 잎새
가시나무에 눈꽃 내려
겨울 소나무
눈과 바람의 햇살의 아침
전설
눈꽃 나무

3부 목양의 뜰
부활절 아침에
함께 살아온 세월
고백하자면
그리움
그대를 보내며
내 마음의 평안
순례자
오해
성전 건축
은아 엄마
병상의 집사님
겨울 아침
어리석은 사람
힘든 날
엄마
침묵 속에 나눈 얘기
조카의 죽음
동정녀의 몸을 빌어
스물여덟 개의 촛불을 켜놓고

발문 그리움은 형벌입니다



저자소개

김신성

경기도 강화에서 출생, 대학에서 방송문예창작학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였다.
2012년 7월 월간 <창조문예> 시 부문으로 등단하였다.
현재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평화교회(www.phch.84.org)담임 이동현 목사의 아내로 슬하에 1남을 두고 있다.
저서로는 목양 일기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2007년 침샘암 수술을 하고 난 뒤 4년 후 다시 침샘암이 재발되어 2011년 10월 18시간 수술 후 투병하며 쓴 눈물의 고백과 서정시, 그리고 목양의 현장에서 쓴 시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