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에서 로버트 E. 웨버가 기독교의 현 상황에 대해 가지는 문제의식은 기독교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붙잡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포스트모던 시대로 바뀌는 흐름 속에서 기독교는 정체성과 방향성의 혼돈 가운데 처해 있다. 이런 가운데 기독교 신앙이 변질되지 않고 새로운 문화 속에 육화되고 통합되는 길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향해 웨버는 나아간다.

웨버는 그 길의 첫 번째 이정표는 초대 교회라고 본다. 사도 시대부터 초대 교회는 오늘날과 비슷하게 이교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사회 속에서 형성되고 존재하였다. 그렇지만 초대 교회는 이교사상과의 조우 속에서 대안문화적인 공동체(countercultural community)를 이루어 그 시대 흐름 속에서 교회다운 교회로서 존재하였다. 이렇게 사도들로부터 기원하여 교부들로 이어지며 종교개혁가들과 그 이후로 보편적으로 수용된 예전과 신학의 전통을 통해 형성된 신앙의 뼈대(framework of faith)를 회복하자고 웨버는 독려한다. 구체적으로 2천 년의 교회 역사 속에서 예배, 교육, 영성과 선교 사역 등에서 복음의 메시지를 어떻게 세속 문화에 이식하고 열매 맺게 했는지를 살펴보며 오늘날 상대주의적인 포스트모던 세상과의 소통방안을 제시한다.

 

[추천 독자]

▪2천 년 교회 역사 속에서 기독교 교회가 집중해온 목회 사역과 미래 기독교에 대한 중요 이슈들과 관점들을 개관하고 싶은 목회자들, 신학생들

▪항구적인 복음을 설교하기를 원하는 설교자들

▪영원한 복음의 핵심을 이해하기를 원하는 신자들

 

차례

추천사 / 5

서문 / 9

역자서문 / 11

감사의 글 / 13

1부. 무대 마련하기 / 17

1장. 패러다임적 사고 / 21

2장. 근대의 패러다임에서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으로의 변화 / 31

3장. 고전 기독교로의 회귀 / 47

2부. 고전/포스트모던 그리스도 / 73

4장. 역사 속의 다양한 그리스도 패러다임들 / 77

5장. 사도전승에 나타난 승리자 그리스도 / 89

6장. 총괄갱신의 신학 / 103

7장. 중심되신 그리스도 / 113

3부. 고전/포스트모던 교회 / 125

8장. 역사 속의 다양한 교회 패러다임들 / 131

9장. 교회의 신학 회복하기 / 139

10장. 역사적인 연결고리를 회복하기 / 153

4부. 고전/포스트모던 예배 / 169

11장. 역사 속의 다양한 예배 패러다임들 / 173

12장. 예배의 신학과 예전 회복하기 / 183

13장. 상징적인 소통 회복하기 / 191

5부. 고전/포스트모던 영성 / 207

14장. 역사 속의 다양한 영성 패러다임들 / 211

15장. 고전적인 영성 / 221

16장. 포스트모던 세계 속의 기독교 영성 / 231

6부. 고전/포스트모던 선교 / 247

17장. 과정으로서의 복음주의 / 251

18장. 지혜로서의 교육 / 273

19장. 세상 속의 교회 / 293

부록: 고전/포스트모던 권위 / 313

맺는말 / 367

참고 문헌 / 371

색인 / 387

 

저자

로버트 E. 웨버(Robert E. Webber)

미국 Bob Jones University(B. A.)

미국 Reformed Episcopal Seminary(M. Div.)

미국 Covenant Theological Seminary(Th. M.)

미국 Concordia Seminary(Th. D.)

미국 Northern Seminary 목회학 석좌교수

미국 Wheaton College 신학부 석좌교수

저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역할』(The Secular Saint, CLC, 1992)

『교회력에 따른 예배와 설교』(Ancient-Future Faith, CLC, 2006)

『기독교 사역론』(Ancient-Future Evangelism, CLC, 2010)

『예배학』(Ancient-Future Worship, CLC,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