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21세기를 맞이하는 한국교회는, 우주적인 교회라기보다는 패쇄적이고 이기주의적인 교회로 변질 되었고, 사랑과 용서와 섬김의 교회라기보다는 반목과 강들이 표출되고 있으며, 제도화, 형식화, 율법화, 직업화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인을 양육하는 교회라기보다는 기독교 종교인을 양성하는 기관으로 변질되고 있음을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복음의 상실이요. 에클레시아의 부재다. 따라서 저자는 이런 원인을 모든 리더십의 근본이요 본질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적 리더십’의 부재로 진단하였다.
그러므로 교회의 지도자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그의 에클레시아로 돌아가서 복음적 리더십에서 목회를 하고 교인을 양육한다면, 주님의 기도처럼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 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도구로서의 그 사명을 다하게 될 것을 믿는다.
-저자의 머리말 중에서

 

차례

ABSTRACT
Ⅰ.서론
1.문제의식과 동기
2.연구의 목적
3.연구 방법과 한계

Ⅱ.지도자와 지도력에 관한 성서적 역사적 고찰
1.성서에 나타난 지도자의 어의
2.지도자와 지도력의 정의

Ⅲ.구약에 나타난 지도자와 지도력의 고찰
1.아브라함의 지도력
2.모세의 지도력
3.사사들의 지도력
4.왕국과 왕들의 지도력
5.제사장들의 지도력
6.회당중심의 장로들의 지도력

Ⅳ.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적인 지도자상의 원리와 실제
1.예수 그리스도의 지도력의 내 외증
2.“바실레이아”선포와 “에클레시아”를 세우신 예수 그리스도의 지도자상

Ⅴ.변화된 12제자의 지도력
1.베드로
2.안드레
3.요한
4.야고보
5.빌립
6.나다나엘
7.도마
8.열심당 시몬
9.세리 마태
10.작은 야고보와 유다
11.가롯 유다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

서임중
서임중 목사는 Ph. D. in, Theology & D.C.Ed. 로서 방송통신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Trinity Theological Seminary에서 교육학을 수학하였고, 영남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원, Yuin University에서 신학을 전공했다. The Leadership of the Jesus christ 등 많은 책을 출간하였고 저술활동을 인정받아 Cohen University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와 세계 교계지도자들에게 5년에 한번 수여하는 최고지도자상을 수상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카슨 시에서 미국 명예 시민권을 수여받았으며 지금도 다양한 교육활동과 주간 및 일간지 논설위원과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포항중앙교회 담임목사와 경안 신학대학원 대학교 총장으로 재임하면서 국내외 지도자 세미나 및 교회부흥사경회 강사로 활동하면서 중앙 복지재단 이사장으로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사역에도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