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사야의 아름답고 찬란한 메시아 예언을 만나보라!
본서는 <이사야의 메시아 예언Ⅰ>에 이어 이사야의 궁극적인 예언의 목적인 처녀를 통한 임마누엘의 탄생과 메시아의 고난을 통한 이스라엘의 구원을 균형 있게 풀어내고 있다. 이사야서는 이사야 시대의 역사뿐만 아니라, 임박한 미래의 역사 그리고 바벨론 포로와 그 이후의 역사, 또한 예수님 초림적 사역과 그 이후의 신약시대 역사, 더욱이 마지막 종말과 종말 이후의 완성되는 하나님 나라의 모습까지 계시역사의 거의 대부분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극적이고 위대한 메시아의 구원의 메시지를 만나보라!

[추천 독자]
- 균형 잡힌 이사야 연구의 맥을 잡고자하는 신학생
- 이사야서 본문으로 설교를 준비하는 목회자
- 메시아 구원의 참된 감격을 회복하고자 하는 그리스도인

 

차례

서문

제2부(사 40:1-56:8)
서론적 고찰
1. 저자와 책의 단일성 문제
2. 역사적 배경
3. 제2아시야의 주제와 내용분석

제1장 회복을 알리는 팡파르(사40장)
1.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40:1-5)
2. 바벨론을 무너뜨림(40:6-8)
3. 왕의 귀환(40:9-11)
4. 구원자인 하나님의 능력(40:12-31)

제2장 기름 부음 받은 자, 고레스(사 41-48장)
1. 하나님이 법정소송을 요청함(41:1-42:17)
2. 바벨론으로부터의 행방(42:18-43:21)
3. 고레스를 부르심(43:22-45:7)
4. 축복시대의 도래(45:8-46:2)
5. 바벨론의 멸망(46-47장)
6. 하나님이 이루실 새로운 일(48:1-16)

제3장 고난의 종(사48:17-56:8)
1. 여호와의 종이 이룰 일들(두 번째 종의 노래, 48:17-49:13)
2. 시온의 불평(49:14-50:3)
3. 세 번째 종의 노래: “내게 학자의 혀를 주사”(50:4-11)
4. 시온에 내리는 여호와의 축복(51:1-52:12)
5. 네 번째 종의 노래: 고난의 종 메시아(52:13-53:12)
6. 기쁨의 노래(종의 사역의 결과)
7. 모든 언약을 성취하실 다윗의 왕(55:3하-56:8)
8. 새로운 시대를 알림(56:1-8)

제3부(56:9-66)
서론적 고찰
1. 이사야서와 다른 부분과의 관계
2. 이사야서가 하나의 책이라는 부가적인 증거

제1장 이스라엘의 죄악을 꾸짖음(사 56:9-59:15상)
1. 타락한 나라
2. 하나님을 의뢰하는 자에 대한 축복(57:13하-19)
3. 이스라엘에게 총채적인 위기가 닥치다(58:1-15상)

제2장 시온의 구원과 회복(사 59:15하-63:6)
1. 시온을 구원하기 위해 구속자가 임함(59:15하-21)
2. 시온 성의 영광(60:1-22)
3. 기쁜 소식을 전하는 메시아(61:103)
4. 구속받은 시온 성(61:4-62:9)
5. 대적을 물리치고 구속자가 시온에 오다(62:10-63:6)

제3장 회복된 천년왕국(사 63:7-66장)
1. 이스라엘의 기도(63:7-64:12)
2. 이스라엘에 대한 징계(65:1-15)
3. 회복된 세상: 천년왕국(65:16-25)
4. 송령: 이사야서의 결론(66장)

미주
참고문헌

 

저자

한정건

중앙대학교 졸업(B.A., 1976)

고려신학대학원 졸업(M.Div., 1979)

미국 Biblical Theological Seminary(S.T.M., 1983)

남아공 Potchefstroom University(Th.D., 1987)

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수(구약학, 1987-94)

고려시학대학원(고신대학교 신학대학원)교수9구약학, 1994-현재)

현, 고려신학대학원장

 

저서

『현대 종말론의 성경적 조명』(서울: CLC, 1991)

『종말론 강해』(서울: CLC, 1992)

『종말론 입문』(서울: CLC, 1994)

『이사야의 메시아 예언Ⅰ』(서울: CLC, 2006)

 

역서

『히브리 왕들의 연대기』(서울: CLC, 1990)

『창세기: 틴델 구약주석 시리즈』(서울: CLC, 1990)

『성경지리 개론』(서울: CLC, 1999)

『선지자와 그리스도』(서울: CLC,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