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교회의 체질에 맞는 교회론 교과서

교회론은 신학의 여러 주제 가운데 하나의 주제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신학 전체의 방향과 성격을 결정짓는 지평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구체적으로 체험하고 있는 교회들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이는 부자유한 교회와 자유한 교회, 흩어지는 교회와 모이는 교회, 자신을 의존하는 교회와 하나님을 의지하는 교회, 무너지는 교회와 세워지는 교회, 병든 교회와 건강한 교회, 그리고 거짓된 교회와 참된 교회 등으로 구분된다.
오늘날 우리가 추구하는 교회는 참된 교회인데, 참된 교회는 과연 존재하는가? 우리 교회는 참된 교회인가? 저자는 이러한 문제들을 의식하고, 거짓되고 잘못된 교회로부터 참된 교회로의 갱신을 요청한다. 또한 참된 교회의 배경, 본질, 표지, 은사와 참된 교회의 직무와 과제들을 고찰한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생명을 나누는 실존적 인격체가 바로 참된 교회임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차례

제1부 참된 교회의 배경
제1장 교회론의 역사적 배경
제2장 교회의 설립과 기초

제2부 참된 교회의 본질
제3장 하나님의 백성
제4장 그리스도의 몸
제5장 성령의 전

제3부 참된 교회의 표지
제6장 통일성, 거룩성, 가톨릭성, 사도성
제7장 서례와 성만찬
제8장 하나님 나라

제4부 참된 교회의 은사
제9장 성령 은사의 본질과 속석
제10장 예언과 신유의 은사
제11장 방언의 은사
제12장 은사에 대한 오해와 바람직한 은사의 사용

제5부 참된 교회의 직무
제13장 교회의 직무와 제도
제14장 교회의 은혜의 수단
제15장 이스라엘과 타종교
제16장 국가와 현대사회


후기: 과연 참된 교회는 존재하는가?

참고문헌
색인

 

저자

김영선
목원대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쇼 of London)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여 신학석사와 철학박사(M. Th., Ph. D.) 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 조지신학 교수이며, 신학대학장과 웨슬리신학연구소 소장, 한국개혁신학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와 삼위일체 하나님』(1996), 『생명과 죽음』(2002), 『존 웨슬리와 감리교신학』(2002), 『사진으로 따라가는 존 웨슬리』(200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기독교신학입문』(1998), 『현대웨슬리 신학』(1998), 『존 웨슬리』(상, 중, 하)(1997-1999), 『기독교의 구성신학』(2000), 『판넨베르크의 조직신학』(2003), 『존 웨슬리 설교선집』(2005)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