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그리스도의 교회는 전 인류를 구원으로 인도하는 하나님의 교육을 책임 진 곳이다. 이러한 교육은 구약시대에 이스라엘백성에게서 토라의 배움으로 실현되다가,신약시대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전 인류구원의 길이 열려지면서,신(神)형상 회복의 과제와 함께 복음의 교육으로 모든 민족에게 새롭게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의 교육은 이제 교회(敎會)에 위임된 사명과 과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이러한 하나님의 그리스도를 통한 인류구원의 교육이 이 땅에 실현되도록 그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런 맥락에서 한국교회가 이러한 교육적 사명과 과제의 실현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교회론의 근본이해에 근거하여 교육과제와 실현방법을 밝혀보았다. 특별히 교회는 그 어느곳에서도 실현 불가능한 전인교육(全人敎育)의 장이며,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인간성을 양육하고 훈련하는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장(場)이기도하다. 그런 뜻에서 이 책은 '교회교육학'또는 '교육목회학'으로 불러도 좋을 것이며,현 목회자들과 신학생,그리고 교회(주일)학교 교사들과 기독교교육에 관심을 가진 모든 평신도들이 읽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차례

머리말


제1부:교회와 교회교육
1.교회란 어떤 곳인가?
2.교회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3.교회의 사명과 과제는 무엇인가?
4.교회교육고 교육목회


제2부:일반교육과 교회교육의 기본이해
1.교육의 개념이해
2.현대교육학에서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제
3.21세기의 교육방향과 새로운 과제
4.교회교육은 어떤 것인가?


제3부:교회교육의 신학과 인간학
1.교육과 신학의 대화
2.신앙과 교육의 관계
3.교회(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근거
4.교회(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구조와 기본내용
5.교회교육과 인간학


제4부:교회교육의 목적과 신앙교육의 근본과제
1.성경적인 교육목적
2.실천신학의 과제와 교육목적
3.현대 기독교교육과 교육목적
4.교회신앙교육의 근본적인 과제


제5부:교회의 신앙교육방법론(1)
1.교수학과 교육과정론의 일반적인 이해
2.교회의 신앙교육,무엇을 어떻게?
3.성경교수의 방법론
4.교육계획과 교수학습을 위한 교안작성의 원리
5.신앙교수학습의 다원적 방법적용


제6부:교회의 신앙교육방법론(2)
1.교회의 직분과 신앙교육의 책임
2.교회교육과 교육행정
3.교회교육교사훈련과 자질형성
4.목회자양성의 신학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5.강도사 훈련을 설립운영에 관한 제언


제7부:교회 신앙교육의 실제 영역
1.어린이 신앙교육
2.청소년교육과 사역
3.교회의 평신도(성인)신앙교육
4.노인의 신앙교육과 목회
5.체념과 희망 사이에서 노인의 종교성
6.교회의 노인목회와 교육
7.코메니우스의 노년기와 사망기학교의 교육


제8부:교회(기독교)의 신앙교육의 역사
1.하나님의 교육과 구약시대의 신앙교육
2.신약시대의 신앙교육
3.고대교회의 신앙교육
4.초기와 중세 로마가톨릭시대의 신앙교육
5.종교개혁시대의 신앙교육
6.근세시대의 신앙교육
7.영국교회의 신앙교육
8.독일교회의 신앙교육과 종교교육
9.미국교회의 신앙교육
10.20세기의 종교교육과 교회의 신앙교육
11.현대의 종교교육과 교회신앙교육의 미래


부록 Ⅰ
참고문헌


부록 Ⅱ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일웅
총신대학 총신대학 신학연구원 독일 본(Bonn)대학교 신학대학 독일 부퍼탈(Wuppertal)신학대학 독일 본(Bonn)대학교 신학대학원 신학박사(Dr. Theol.) 총신대학교 종교 교육학과 교수.학과장 역임 총신대학교 부설 한국교회문제연구소 소장역임 현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정교수 (기독교 교육학과 예배학담당) - 저서 종교개혁시대의 기독교신앙의 가르침 교육목회학 기독교예배학개론 21세기 한국교회와 실천신학 독일교회를 통하여 배우는 통일노력 세계의 평신도 인물사 - 역서 독일개신교신학연구개론 하나님나라의 신학 기독교신앙의 초석 코메니우스의 범교육학 코메니우스의 발자취 미래를 가진 하나님의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