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 지금까지 한국교회의 성장 동력 중 하나는 교회교육이었으나, 교회의 내,외적인 문제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교회교육은 큰 위기에 직면해 있다. 교회교육의 위기는 교회 성장에 직접적으로 지대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1995년부터 한국교회는 침체기로 들어섰고, 교회의 양적 성장이 멈춘 지 이미 오래 되었다. 그 중에 어린이와 청소년 그리고 청년층이 양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그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교회학교 성장이 둔화되면서 그 영향력도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청소년부의 격감 현상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저자는 지난 120년 동안 한국 교회 청소년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고, 그 자료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분석해서 현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으로 저술하였다.

* 여섯 번째는 정보화 및 디지털 시대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교육과정은 지면으로 만들어진 교재를 통해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는 인터넷과 휴대폰 등을 사용하는 정보화된 시대이고, 디지털 시대이다. 인터넷은 오래전에 대중화되었고, 인터넷보다 더 쉽고 빠르고 가까이 있는 휴대폰과 같은 디지털문화를 청소년들은 소유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영상 도구도 많이 접촉하고 있다. 향후 청소년부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모든 청소년이 분신처럼 사용하는 도구들을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새 교육과정은 청소년들이인터넷이나 컴퓨터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게 하어야 하며, 휴대폰으로도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차례


추천사 1 / 2 / 3
머리글

제1장 서론
제2장 교육과정 이론의 이해
제3장 한국교회 5개 교단별 교육과정 변천사 개관
제4장 개화기부터 1970년대까지(전학문기) - 청소년부 교육과정 변천사
제5장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학문기) - 5개 교단의 청소년부 교육과정 변천사1
제6장 제 언



저자소개

안병창

저자는 침례신학대학교 신학과(신학사, th.b.)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ed.m.)를 취득하였다.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에서는 교육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저자는 군목으로 사역하기 전에 이미 대박침례교회에서 담임목회를 했으며, 1975년 국방부 군종장교 시험에 합격하고 1990년 육군 군목 소령으로 전역하기 전까지 군에서 사역했으며, 1991년 기독교한국침례회 교회진흥원에 입사하여 현재 기독교한국침례회 교회진흥원 원장과 요단출판사 대표로 사역하고 있다. 그리고 (사)한국기독교출판협회 감사와 한국찬송가위원회 위원 그리고 세계침례교연맹(bwa) 상무위원으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