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이 창조하신 세상에 어떻게 “흑암”이 다시 등장/존재할 수 있는가(창 1장)? 
하나님이 창조하신 짐승이 어떻게 인간으로 하여금 죄를 짓게끔 유혹할 수 있다는 말인가(창 3장)?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에게서 자식을 낳았다는 이야기와 
고대근동 신화 자료 사이의 평행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창 6장)? 
이집트의 속박에서 그의 백성을 해방시키라고 모세에게 복을 주어 임명한 야웨는 
어째서 갑자기 그를 죽이려 하는가(출 4장)? 
송아지가 사자와 더불어 사는 낙원의 모습은 고대근동 신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사 11장)? 


“우리의 주석은 히브리 전통 안에 이교 신화의 외래적인 조각이 존재함을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앞에 놓인 가장 중요한 과제는 여전히 해답을 요구하는 많은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신화 내에서 불안감을 주는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이스라엘의 신앙은 이 침입에 어떻게 반응했는가? 성경의 저자가 자신의 자료를 완전히 통제했는가? 아니면 동화되지 않은 조각의 흔적이 있는가? 확실히 우리가 텍스트에서 겪었던 큰 어려움은 재구성과 동화의 명확한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 97쪽.



브레바드 S. 차일즈는 이 책에서 원어 분석과 신화 비평을 통해 구약성경의 신화와 실재 사이의 관계를 추적한다. 구약성경의 저자는 신화의 어떤 측면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수정을 가했으며, 어떤 부분을 거부했는가? 이러한 신화 비평을 통해 독자들은 구약성경 저자/공동체의 신학과 사상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판 서문 / 9

제2판 서문 / 13

약어표 / 15



제1장 신화의 정의에 대한 문제 / 17

제2장 실재에 대한 이해로서의 신화 / 25

A. 신화의 본질 / 25

B. 원시 종교의 신화 / 32

C. 수메르와 바빌로니아 종교의 신화 / 38

D. 고대 이집트 종교의 신화 / 45

제3장 구약의 실재와 충돌하는 신화 / 51

A. 창세기 1:1-2 / 52

B. 창세기 3:1-5 / 74

C. 창세기 6:1-4 / 86

D. 출애굽기 4:24-26 / 102

E. 이사야 11:6-9 / 112

F. 이사야 14:12-21 / 120

제4장 구약에서의 실재의 범주 / 127

A. 시간의 개념 / 128

B. 공간의 개념 / 147

제5장 신화의 신학적인 문제 / 165

인명 색인 / 185

성구 색인 / 187





추천의글

브레바드 S. 차일즈의 이 빛나는 연구는 고대근동의 신화를 알아야 구약성경에 담긴 진리와 아름다움과 권능을 깊이 음미할 수 있음을 깨달은 선각자의 역작이다. 구약성경은 고대근동 세계에서 탄생하고 전승된 문헌이다. 고대 이스라엘은 이웃 민족들의 체험과 언어와 문화와 세계관 등에 전면적이고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고대 이스라엘의 정체성과 구약성경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반드시 고대근동 문헌을 가까이 두고 꼼꼼히 비교하며 읽어야 한다. 미국 구약학계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 차일즈는 이미 1950년대에 구약의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대근동의 신화를 알아야 한다는 확신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제 본서는 연구사적으로도 의미가 큰 작품이 되었다. 그래서 더욱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귀한 연구가 한국어로 번역되어 반갑고 기쁘다. 이런 일을 해 주신 역자와 출판사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_ 주원준(구약학 박사; 한님성서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국고대근동학회 초대 회장) 




악세사리 상품 이미지-S1L2
악세사리 상품상세 이미지-S1L3
악세사리 상품 이미지-S1L4